민주당은 이날 오전 8시부터 청와대 앞에 모여 이 대통령의 이행법안 서명 중단을 촉구하는 시위를 벌였다.
김진표 원내대표와 당 한미FTA 무효화 투쟁위원장인 정동영 최고위원, 노영민 원내수석 부대표, 김유정 홍영표 원내대변인 등 전현직 의원 35명이 참석했다.
민주노동당 이정희 대표와 김선동 의원, 창조한국당 유원일 의원, 무소속 조승수 의원 등도 동참했다.
이들은 기자회견에서 “이 대통령이 서명한다면 99%의 거센 저항에 직면하게 될 것이고, 이는 결국 이 정권의 붕괴를 초래할 것”이라며 서명 중단을 요구했다.
이들은 또 “한나라당은 헌법을 유린하는 한미FTA를 날치기 처리한 반(反)헌법 정당”이라며 “이행법안에 서명하더라도 모든 것은 내년 총선 이후 바뀐 국회에 의해 정지될 것이며, 정권교체 후 원점으로 돌아가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기자회견 후 이들은 이 대통령에게 성명서를 전달하려 했으나 경찰의 제지로 승강이가 벌어지자 현장에 나온 김효재 정무수석에게 이를 전달했다.
한미FTA 무효화 투쟁위는 이어 영등포 당사에서 시ㆍ도당위원장 연석회의를 열어 향후 투쟁 방향을 논의키로 했다.
이날 당 원내대책회의도 이행법안 서명을 집중 성토했다.
김진표 원내대표는 “이 대통령이 서명을 옳은 일이라고 착각하는 것인지, 국민의 반대를 뚫겠다는 오기를 갖고 있는 것인지 알 수 없다”며 “이행법안에 날치기 서명하는 것은 성난 민심에 기름을 붓는 위험천만한 행태”라고 경고했다.
김재윤 의원은 서명 중단을 요구하면서 “이 대통령은 농어민과, 축산인, 가난하고 소외받는 사람이 어떤 생각을 하고 있는지 분명히 살펴보기 바란다”고 가세했다.
이런 가운데 당 일각에서는 새해 예산안 등 현안 처리를 위해 등원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홍재형 국회부의장은 “한미FTA 무효화 투쟁을 계속해야 하지만 우리의 본분을 지키는 일도 중요하다”며 “한나라당의 예산안 날치기를 막지 못한다면 (국민이) 민주당에 걸고 있는 한가닥 희망마저 거둘지 모른다. 유종의 미를 거둬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