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려반 기대반 속에서 추진되고 있는 무인 민항기 운항은 이미 앞으로 수요가 크게 늘어날 것이라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로스앤젤레스타임즈(LAT)는 27일(현지시간) “미국 연방항공국이 올해 민간 부문 무인기 시험 비행허가를 266건이나 내주었고, 지난 1월 민간 부문 무인기 운용 규정도 마련했다”고 보도했다.
특히 평소 범죄 용의자 추적 등에 헬리콥터를 이용해 왔던 경찰의 움직임이 가장 적극적인 것으로 알려졌다. 텍사스, 플로리다 및 미네소타 등 3개주 경찰은 범죄 용의 차량 및 범인 추적에 무인기 드론을 도입하는 방안을 적극 추진중이다.
미국의 무인기 제조업체 에어로바이런먼트는 "경찰용 무인 헬리콥터를 이미 개발해 놓고 수주를 기다리고 있다"고 전했다. 무인기 드론은 대당 가격이 4만 달러에 불과해 실제 헬리콥터의 170만달러 가격에 비하면 아주 싼 것이 장점이라고 LAT는 설명했다.
게다가 무게도 2.5킬로그램에 불과해 이착륙 등 사용하기도 간편하다는 게 관련업계측 주장이다. 게다가 여러 대를 동시에 하늘에 띄어 놓고 범죄 수사와 범인 추적에 사용할 수 있어 경찰로부터 "수사활동에 아주 적격"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그럼에도 미 국방부 등은 군용기술을 민간부문에 허용하는 것을 우려하고 있다. 또한 기술 및 작전 실패로 이 무인기가 주택 등 민간인 시설에 추락할 경우 인명피해도 우려되고 있다. 여러가지 경로로 무인기 기술이 범죄자들의 수중에 들어갈 수 있는 가능성도 해결해야 할 과제라고 LAT는 지적했다.
(아주경제 송지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