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황우여 원내대표는 24일 한미FTA 후속대책과 관련, “필요한 경우 국회내에 특위를 구성해 (후속대책을) 점검하고 완벽하게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황 원내대표는 “농축어업 피해보전대책과 중소기업·소상공인 대책, 친환경 무상급식 등의 문제를 철저히 점검하겠다”며 “투자자국가소송제도(ISD) 문제는 FTA 발효 즉시 협의를 추진해 이명박 대통령이 국회에서 약속한 미국과의 재협상이 추진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한미FTA 특위 제안은 성난 야당을 회유하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이와 함께 무상보육·반값등록금·비정규직·일자리 관련 부문의 내년도 예산 증액을 요구하는 카드도 쓸 태세다. 민주당은 당론으로 복지부문 예산 10조원 증액을 요구한 상태다. 이 때문에 복지예산 증액을 접점으로 삼아 야당의 예산 심사 동참을 이끌어내겠다는 게 여당 지도부의 복안이다.
황 원내대표 측은 “FTA 처리는 국익을 위한 결정이었지만 국회 파행을 빚은 만큼, 후속 대책추진을 야당과 함께 해나갈 것”이라며 “복지예산 강화도 당 연찬회를 통해 당론으로 수립해 정부에 강력히 요구할 계획”이라고 했다.
본회의장에 최루탄을 살포한 민주노동당 김선동 의원에 대해서도 처벌을 요구하지 않는 등의 방침도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FTA 기습처리 이후 ‘황우여-김진표’ 원내대표 핫라인이 사실상 끊긴 상황이어서 야당의 국회복귀가 원활히 이뤄질지는 미지수다. 특히 야권통합 전당대회가 내달 17일 열릴 예정이어서 그 이후에나 국회가 정상화될 것이란 우려도 나오고 있다.
당 고위관계자는 “민주당이 FTA를 강력반대한 이유에는 야권통합문제가 걸려있었다고 본다”며 “우리가 어떤 제안을 해도 민주당은 조기에 국회정상화를 할 생각이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예산과 법안 처리에 비상이 걸린 상황이어서 당의 야당 복귀 유도전략이 얼마나 실효성을 가질지 알 수 없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