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정부의 최대현안이던 한미 FTA를 야권의 반발을 무릅쓰고 여당이 처리한 데 대한 ‘보답’을 받아야 한다는 것이다. 여권에선 이번 회동을 계기로 본격적인 당·청간 차별화가 시작될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한나라당 고위관계자는 23일 “홍 대표가 당 쇄신연찬회 개최에 앞서 조만간 이 대통령과 만나 청와대 쇄신방향을 논의할 것”이라며 “보육 등 복지정책 강화한 예산안, 개각 등을 요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여당이 비준안 처리를 위해 결단한 만큼 이제 이 대통령도 여권을 위해 결단해야한다”며 “당내 쇄신요구에 대해 대통령도 크게 받아들여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따라 이 대통령과 홍 대표간 회동에서는 당내 소장파 의원 25명이 요구한 △대통령 대국민 사과 △747(7% 경제성장, 1인당 국민소득 4만 달러 △7대 경제강국) 폐기 등의 쇄신안을 비롯해 개각 문제, 복지부분 3억원을 증액한 수정예산안 등이 거론될 것으로 알려졌다.
여당은 22일 의원총회를 통해 대학생 등록금 인하·보육·비정규직 지원·청년창업·일자리 부문 예산 증액을 공식 요구한 바 있다.
이에 대해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회동은 이 대통령 미국 방문이 끝나고 24일 본회의가 열리 전 이뤄질 것으로 본다”며 “기본적으로 여당의 쇄신 요구를 홍 대표가 종합해 대통령에게 전달하는 형식”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대통령은 쇄신안에 대한 입장을 밝히고 남은 임기 동안 적극적으로 서민정책 등을 추진하겠다는 의사를 전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회동을 통해 여당이 본격적으로 청와대와 거리두기에 나설 것이란 시각이 지배적이다. 친박(친박근혜)계의 당내 권력이 강화되는 가운데 복지강화 등을 내세워 현정부의 성장정책기조 폐기를 압박하고 대통령 고유 권한인 인사문제에도 개입하겠다는 것이다. 대통령의 탈당을 요구하지는 않겠지만 정책이나 정무적 측면에서 여당이 주도권을 행사하겠다는 게 당지도부의 방침이다.
홍 대표 측은 “내년 총선 승리를 위해 대통령도 해야 할 역할이 있다”며 청와대 쇄신을 우회적으로 압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