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원회는 생명보험협회와 손해보험협회에서 비교 조회할 수 있는 ‘보험료지수’의 계산방식을 개선한다고 23일 밝혔다.
보험료지수는 보장성 상품의 위험보험료와 사업비 수준을 수치로 나타낸 것이다. 이 지수가 낮을수록 보험료가 싸진다.
기존에는 금융감독원이 정하는 표준위험률을 근거로 보험료지수가 산출됐다. 그러나 앞으로는 보험개발원이 실제 경험치를 구해 금감원에 신고한 참조위험률로 대체된다.
이럴 경우 위험보험료의 비교대상 범위가 40%에서 70%로 확대된다.
손보협회 홈페이지에 설치돼 있는 자동차보험료 비교 조회 시스템도 한층 정교해진다.
현재는 차종과 가입연령, 운전자범위 등을 입력하면 비슷한 가입조건의 회사별 보험료를 조회할 수 있다.
금융위는 운전자의 운전경력과 사고경력까지 따져 실제로 내야 할 보험료를 상품별로 비교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개선할 계획이다.
새 시스템은 보험 만기 30일 전부터 갱신계약을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비교 조회는 하루 4차례까지 총 12차례 가능하다.
금융위는 이를 통해 보험료 인하 효과가 생길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금융위 관계자는 “보험료 비교가 용이해지면 보험사 간의 경쟁이 벌어져 보험료가 낮아질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