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구업계, "파티클보드 반덤핑관세 연장은 어불성설"

2011-11-23 13:12
  • 글자크기 설정

현재 8% 기본관세 만으로도 경쟁력 제고 어려워<br/>국회·재정부 등 정부부처에 결의문 및 탄원서 제출 예정


(아주경제 강규혁 기자)"반덤핑관세가 부과됐던 지난 3년 간 국내 가구업계는 그 어느때 보다 어려운 상황을 겪어 왔습니다. 반덤핑관세 부과기간 연장은 가구업계의 현실을 무시한 처사입니다."

가구업계가 파티클보드(이하 PB) 반덤핑관세 연장저지를 위한 투쟁에 나섰다.
한국가구산업협회를 비롯한 대한가구산업협동조합연합회·한국씽크공업협동조합 등 가구단체들은 23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회관에서 'PB반덤핑관세 연장저지 범 가구인 결의대회 및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날 대책위는 한국합판보드협회가 태국·말레이시아산 파티클보드에 대해 덤핑방지관세 부과기간을 연장하고자 기획재정부에 종료재심사를 요청한 것에 대한 대응차원에서 이뤄졌다. 현재 무역위원회 내에서는 덤핑방지관세 부과기간 재심사 개시결정이 유력한 상황이다.

현재 태국·말레이시아산 PB는 기본관세 8%에 지난 2009년 4월부터 2012년 4월까지 덤핑방지관세 7.69%가 부과돼 총 15.69%의 관세가 부과되고 있다.

대책위는 국내 파티클보드 생산업체가 동화기업과 성창기업 2개사, 공급능력은 40% 수준에 불과한 현실을 무시한 채, 정부가 PB에 부과되었던 반덤핑관세 연장에 나선 것은 국내 가구업계의 원가부담을 상승시키는 일이라고 비판했다. 더불어 덤핑관세 부과기간 동안 국산 PB의 가격이 지속적으로 인상돼 가구원자재 가격이 30% 이상 상승해 채산성 약화로도 이어졌음을 강조하며, 수입규제를 지속해서는 안된다는 입장을 밝혔다.

또한 파티클보드의 주 원재료인 폐목재가 주택건설경기 침체와 수거에 대한 노력 부족으로 원자재난이 심화되고 있으나, 이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나 대체 원재료 확보 등의 시도가 이뤄지지 않고 있는 점도 아쉬움을 표시했다. 특히 선진국 수준에 근접한 친환경보드 개발에 뒤쳐진 채 저가 비친환경제품(E2급) 생산비중이 높아 시장주도적인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음도 꼬집었다.

대책위 측은 "지난 10월부터 한국합판보드협회를 방문해 △국산 PB 적극 구매 및 판로확보 △PB 수입규제 법제화 등 상생협력방안을 제안했지만 줄곧 거부당해 왔다"며 "반덤핑관세 부과기간 연장저지를 위한 가구인들의 뜻을 모은 서명운동을 전개하고 결의문과 탄원서를 국회와 기획재정부 등 정부부처에 제출할 예정" 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PB 반덤핑관세 부과기간 연장저지 서명운동에는 한샘·리바트·퍼시스·보루네오·에넥스 등 300여 개 업체와 PB 수입업체 등 총 500여 업체가 참여하고 있다.

대책위 관계자는 "반덤핑방지관세 부과로 인해 국내 가구업계는 관세 부과의 부담이 없는 중국에 내수시장을 내준 상태다. 이러한 상황이 지속되면 국내 가구업체들은 국내 생산을 포기하는 등 중소기업의 경영악화·고용기회 상실 등 당면한 국가경제에도 어려움을 가중시킬 뿐" 이라며 조속한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이어 "향후 재심사 개시에 맞춰 기본 조직을 개편해 반덤핑관세 부과기간 연장저지를 적극 추진하고, 궁극적으로는 가구산업의 역관세구조 해결도 적극 나설 것" 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