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FTA 비준> 최루탄 쏘아 올린 김선동, 사법 처리 받나?

2011-11-23 01:26
  • 글자크기 설정

<한미FTA 비준> 최루탄 쏘아 올린 김선동, 사법 처리 받나?

(아주경제 김현철 기자) 22일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비준에 앞서 민주노동당 김선동 의원이 국회 본회의장에서 최루탄을 터뜨린 행위가 과연 국회의원의 면책특권에 해당되는지에 많은 사람들이 궁금해 하고 있다.
 
 법조계는 대체로 국회의원의 면책특권은 `국회에서 직무상 행한 발언과 표결‘에 관해서만 적용되기 때문에 김 의원의 행위에는 적용되기 어렵고 보고있다.
 
 다만 최루탄을 터뜨렸을 때 바로 현행범으로 체포되지는 않았기 때문에 국회의 동의 없이 회기중에 체포 또는 구금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법조계에서는 김 의원의 행위가 우선 형법 제138조의 국회회의장모욕죄에 해당할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국회의 심의를 방해 또는 위협할 목적으로 소동을 벌인 경우 적용되는 이 죄는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700만원 이하의 벌금을 물어야 한다.
 
 지난 2008년 국회 외교통상통일위원회의 한미FTA 비준동의안 상정과정에서 회의장 내 소방호스로 물을 뿌린 정당 당직자에게 이 죄가 적용 됐었다.
 
 일각에서는 위험한 물건을 휴대하고 직무를 집행하는 공무원을 폭행 또는 협박한 경우에 적용되는 특수공무집행방해죄(7년6월 이하의 징역 또는 1500만원 이하의 벌금)를 제기하기도 한다.
 
 최루탄이 위험한 물건에 해당하고, 터트린 행위 자체를 폭행으로 볼 수 있다는 것.
 
 검사 출신의 한 변호사는 “최루탄 연기나 냄새로 인해 회의장에 있던 의원이나 직원들에게 상처가 생겼거나 피부염증 등을 유발했다면 특수공무집행방해치상죄까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이 죄가 성립하려면 정당한 직무집행 중이라는 전제가 필요해 국회본회의 소집절차에 위법이 있는지를 법정에서 다투게 될 전망이다.
 
 하지만 법조항 적용 여부보다도 중요한 것은 국회의 고발 의지다.
 
 대검찰청 공안부는 김 의원의 최루탄 살포 행위에 대해 “국회의 고발을 받아 대응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검찰 관계자는 “국회 의사를 존중해야 한다. 과거 국회 폭력사태와 마찬가지로 관할 검찰청에 고발장이 접수되면 법리 검토를 거쳐 처리하겠다”고 밝혔다.
 
 검찰은 예전 민주당 문학진, 민노당 강기갑 의원 사건 때도 서울남부지검에서 국회 고발을 받아 사건을 처리한 바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