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행정안전부가 공시한 2010년도 지방 공기업 경영평가 결과에 따르면 강원도개발공사는 ‘가∼마’ 등급 중 가장 낮은 ‘마’등급을 받아 CEO 등 임원의 내년 연봉이 5∼10% 줄어든다.
강원도개발공사는 지난해 자본금이 1672억원인데 비해 적자가 무려 519억원 이었다.
경북개발공사와 경남개발공사는 각각 77억원과 135억원 적자를 기록해 ‘라’등급을 받아 임원은 성과급을 못 받고 내년에 연봉이 동결되며 직원들은 성과급이 10∼100%로 제한된다.
또 경남개발공사는 경영진단 대상에도 오르는 등 불운이 겹쳤다.
서울메트로와 대구환경시설공단은 고객만족도 조사를 조작하다 적발돼 사장과 임원은 성과급 미지급과 내년 연봉 삭감 조치를 받게 됐으며 직원은 성과급 기준이 ‘다’ 등급으로 한 단계 떨어졌다.
도시개발공사 중 SH공사와 경기도시공사는 행안부 승인 없이 공사채를 발행하거나 공사채를 차환할 때 시중금리보다 높게 발행했다가 적발돼 감점을 받았다.
인천도시개발공사 등은 처분할 수 없는 자산 등을 현물 출자했고, 충남개발공사·전남개발공사는 출자회사에 채무보증행위 하거나 출자회사 자금대여를 했다가 규정 위반으로 지적을 받았다.
15개 도시개발공사의 평균 부채비율은 332.6%, 자기자본 비율 30.3%, 총자산 중 재고자산비율 63.1%로 분양 실적이 부진할 경우 자금 유동성 악화 등에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특히 SH공사(393.4%)와 대구도시공사(455.5%), 인천도시개발공사(937.3%), 경기도시공사(582.2%), 강원도개발공사(340.6%), 경남개발공사(364.2%) 등은 부채비율이 높았다.
이번 평가 대상인 58개 기업의 평균 점수는 85.30인 ‘나’등급으로 전년(85.37)과 거의 비슷한 모습을 보였다.
도시개발공사는 적자기업이 2개에서 대구, 전남, 경북 등 5개로 증가했고 하수도 사업은 경영성과 부진과 경영개선 전략 미흡 등으로 평점이 떨어졌다.
지난해 실적에 대한 공기업 평가 등급은 우수(30%), 보통(50%), 미흡(20%) 3단계에서 5단계로 확대되면서 라, 마 등급은 성과급 미지급이나 임원 연봉 동결, 삭감 등의 조치가 도입됐다.
이전에는 경영 부진으로 ‘미흡’ 평가를 받더라도 0∼100% 범위에서 자치단체장의 권한으로 성과급을 받을 수 있었지만 도입된 제도는 ‘마’등급은 받을 수 없다.
행안부는 "내년도에는 고객만족도를 조작하지 못하도록 하고 경영개선 명령 이행하지 않으면 감점 폭을 키울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