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무원은 며칠 전 하남성의 중원경제구 건설 가속화 지지에 관한 지도의견을 공포하였다.
지도의견에는 중원경제구는 전국 주기능구 기획이 명확한 중점개발구역을 기반으로 하고, 중원도시군들의 버팀목이며, 하남성을 포함한 주변지역까지 미치는 경제구역일 뿐만 아니라 중요한 지리적 위치, 두드러진 식량우위, 거대한 시장잠재력 및 높은 문화 잠재력을 지니고 있으며, 전국 개혁발전 대세 중 중요한 전략적 지위를 갖추었다고 밝히고 있다.
<하남성 중원경제구 가속화지지에 관한 국무원 지도의견>은하남성은 인구가 많고, 식량과 농업생산 규모가 큰 신흥공업 성(省)이다. 또한 공업화,도시화, 농업현대화를 협력적으로 잘 발전해 가고 있는 전형적이고 대표적인 성이다.
농업과 식량의 희생이나 생태환경의 파괴 없이 공업화, 도시화 및 농업현대화를 협력적으로 발전해 나가는 길을 모색하는 것이 중원경제구 건설에 있어서 핵심적인 임무라고 강조하였다.
<지도의견>에 따르면 하남성의 중원경제구 건설 가속화를 지지하는 데에는 농업기반 지위상승을 공고히 하여 국가의 식량안보를 보장하는 필요성, 도시와 농촌의 이원적 구조를 타파하여 신공업화 및 도시화 과정을 가속화하는 필요성, 협력발전을 촉진하여 전국의 같은 부류 지역을 위한 경험창조의 필요성, 하남성 발전을 가속화하여 전 지역과 함께 소강사회(小康社會)8) 목표를 실현하는 필요성, 중부지역의 부상으로 지역협력발전을 촉진하는 필요성 때문이다.
<지도의견>은 중원경제구의 전략적 위치를 명확히 하였다. 즉, 국가의 중요한 식량생산과 현대화 농업기지, 전국의 공업화, 도시화 및 농업현대화의 협력발전 시범구, 전국의 중요한 경제성장의 영역, 전국지역협력발전의 전략지점 및 중요 현대종합 교통요충지, 중국역사문명을 전승하는 혁신구라는 것이다.
<지도의견>은 중원경제구 발전목표를 확정했다.
2015년까지는 식량종합생산능력의 안정적 향상, 산업구조의 지속적 우세화, 도시화의 질과 수준의 안정적 향상, 공업화․도시화․ 농업현대화 발전 협력의 부단한 강화, 공공서비스수준과 평균화 정도의 전면적 향상, 경제발전과 같이하는 주민의 소득증가, 생태환경의 점진적 개선, 자원절약의 새로운 진전, 발전 활력이 두드러지고, 부상하는 추세가 강한 경제구역을 형성하는 것이다.
2020년까지는 식량생산 우위지위 더욱 공고화, 공업화 및 도시화의 전국평균 수준 근접, 종합경제력의 뚜렷한 증가, 도시와 농촌의 기본 공공서비스의 균등화, 기본적으로 도시와 농촌의 경제사회발전이 일체화 되는 새로운 구조 형성, 도시와 농촌의 경제 변영, 부유한 주민생활, 뛰어난 생태환경, 조화롭고 문명적인 사회, 전국적으로 중요한 영향력을 지닌 경제구를 건설하는 것이다.
<지도의견>은 전문 약 15,000자, 모두 10개 부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부문은 총체적 요구, 식량생산능력 제고 노력으로 농업현대화 적극적 추진, 새로운 공업화 과정을 가속하여 현대산업체계 구축, 도시화 적극추진으로 도시와 농촌의 일체화 발전 촉진, 기초시설 건설 강화로 발전 보장 수준 향상, 자원절약과 환경보호 강화로 생태문명 건설 적극 추진, 공공서비스 수준의 전면적 향상으로 철저한 민생보장 및 개선, 중원문화를 드높여 문화소프트웨어 실력 증강, 체제 메커니즘을 새롭게 개혁하여 대내외 개방 확대, 보장조치 등이다.
출처: http://www.ccmag.cn/DocAction.jspa?id=2502, 国务院出台指导意见 支持河南省加快建设中原经济区
※중국 관세무역 종합정보 소식지 CCTN(CHINA CUSTOMS TRADE NEWS)은 중국관세무역연구회(회장: 정재열 인천공항세관장)가 지난 1월 24일 창간한 중국 관세무역 종합정보 소식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