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1일 충북대 창업보육센터에서 열린 창업·중소기업 금융환경 혁신 간담회에 참석한 안택수 신용보증기금 이사장(왼쪽부터)과 김석동 금융위원장, 진영욱 정책금융공사 사장, 조준희 기업은행장 등이 참석자들의 발언을 경청하고 있다. |
(아주경제 이재호 기자) 김석동 금융위원장이 창업·중소기업 금융환경 개선을 내년 핵심 과제로 정하고 이를 위한 현장 실태 파악에 나섰다.
김 위원장은 21일부터 1박 2일의 일정으로 충청·전라·경상권을 두루 도는 강행군을 시작했다.
그는 “나도 잘나가는 대기업에 다니다가 회사를 차렸던 창업 1세대”라며 “불의의 문을 닫았지만 지금 창업 현장을 보면 도전할 수 있는 영역이 많아 가슴이 뛴다”고 소개했다.
김 위원장은 대학을 졸업한 후 주제실업이라는 무역회사를 세운 바 있다.
그는 “청년 창업은 내년 핵심사업으로 추진할 것”이라며 “성공사례가 나올 수 있도록 금융부문에서 최대한 뒷바라지 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창업자와 중소기업 대표, 창업동아리 소속 대학생들은 김 위원장을 비롯해 동행한 정책금융기관장 및 시중은행 임원들에게 다양한 금융애로를 토로했다.
정진근 참두릅영농조합 대표는 “묘목을 기르려면 땅이 필요한데 투기 우려가 있다며 자금을 제대로 지원하지 않는다”며 “중소기업청의 7대 선도과제에 농업이 배제돼 있어 어려움이 크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김 위원장은 “농업 지원이 배제돼 있는 것은 심각하다”며 “중소기업청과 농림수산식품부 양쪽에서 지원이 안 되는 사각지대에 있는 것 같은데 관계 부처와 상의를 해보겠다”고 화답했다.
절전시스템을 개발하는 탑알엔디 이재권 대표는 정책금융기관의 보증시스템에 대해 “기술보증기금과 신용보증기금의 보증제도는 실패할 경우의 리스크를 기업 대표에게 전가하기 때문에 초기 기업 입장에서 움츠러들 수 있다”며 “보증보다는 투자를 활성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정국 기술보증기금 이사장은 “보증기관이 투자도 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법안이 국회 계류 중”이라며 “법이 통과되면 내년부터 창업기업의 특성을 반영해 본격적 투자를 진행 하겠다”고 약속했다.
안택수 신용보증기금 이사장은 경기악화로 납품대금을 받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기업들을 위해 “온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는 '일석e조 보험'이 있다”며 “보험과 대출기능을 합쳐 매출채권보험은 물론 보험계약금액의 80%를 기업은행과 협의해 보증부대출도 해준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