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권의 새로운 통합정당을 건설하기 위한 연석회의가 20일 공식 출범한 가운데 순항여부에 관심이 모이고 있다.
야권은 늦어도 27일까지 창당준비위원회를 꾸린 뒤 다음달 17일 통합 전당대회를 치르는 일정표를 갖고 있다.
현재 연석회의는 민주당을 비롯해 친노(親盧) 진영, 시민사회, 노동계를 포괄하고 있다.
민주당과 '혁신과통합', 무소속인 박원순 서울시장과 김두관 경남지사는 지난 13일 준비모임 단계부터 이름을 올렸다.
이날 출범식에는 한국노총(이용득 위원장), 진보통합시민회의(이학영 상임의장), 복지국가소사이어티(최병모 이상희 공동대표), 창조한국당 유원일 의원 등이 참석했다.
국민참여당에서도 정찬용 고문 등 일부 인사가 합류할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민주당 내 반발이 있는데다 출신배경이 다른 인사들이 얼마나 '화학적 결합'을 이뤄낼지 미지수라는 점에서 연석회의 출범은 '절반의 성공'이라는 평가도 나온다.
한국노총은 통합정당이 노동 현안 해소를 위해 노동계의 요구를 얼마나 수용하는지를 보고 통합 참여를 최종 결정하겠다는 입장이다.
지도부 선출을 위한 선거인단 구성문제는 당원은 물론 국민도 참여하는 국민경선으로 가닥을 잡았다.
민주당은 당원 중심의 경선을, 비민주당은 국민 누구라도 참여하는 완전개방형 경선을 주장해 왔다.
연석회의가 출범한 이날 민노당, 참여당, 통합연대는 별도 기자회견을 갖고 진보통합정당 건설에 합의했다. 민주당이 추진해온 대통합이 현 단계에서는 무산된 셈이다.
이는 민주당이 주도하는 새로운 통합정당이 내부의 불협화음을 줄이는 일과 동시에 대외적으로 진보통합정당과 협력을 모색하는 부담까지 지게 됐다는 뜻이다.
민주당 주도의 통합정당은 마지막까지 정파등록제 등을 통해 진보통합정당을 포괄하는 통합을 이뤄낼 목표지만 진보통합정당은 `통합이 아닌 후보단일화', 즉 선거연대에 방점을 두고 있다.
다만 진보통합정당 내에서 총선에서 원내교섭단체 구성에 필요한 20석 이상 의석 확보라는 목표를 달성하려면 야권 대통합의 정신을 살려야 한다는 목소리가 있어 대통합의 불씨가 완전히 꺼진 것은 아니라는 견해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