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5일 건설업계 전문가들이 건설주택포럼 공개세미나에서 의견을 개진하고 있다. |
(아주경제 이정은 기자) 건설업계 전문가들이 부동산개발 사업 활성화를 위한 새로운 대안으로 메자닌론과 지주공동사업을 제시했다.
건설·주택관련 석·박사급 전문가 100인의 모임인 건설주택포럼(회장 신완철 한화건설 상무)은 지난 15일 서울 논현동 건설회관에서 '부동산금융 활성화 방안'을 주제로 공개 세미나를 열고 토론회를 가졌다.
이국형 하나다올신탁 상무는 "부동산 경기침체와 금융시장 불안으로 프로젝트파이낸싱(PF)이 사실상 중단됐다"며 "사업의 종류 및 위험도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바꿀 수 있는 메자닌론 활성화와 지주공동사업이 부동산개발 사업 활성화를 위한 새로운 대안"이라고 제시했다. 메자닌은 주식과 채권의 중간 형태로, 전환사채와 신주인수권부사채 등이 메자닌론의 일종이다.
이 상무는 또 "고위험ㆍ고수익 사업의 경우 초기자금 조달이 필수적이므로 부동산개발투자회사 등을 육성해 개발자금 공급원을 확대해야 한다"며 "소매금융 중심의 상업은행이 아닌 투자금융은행의 활성화로 제대로 된 PF의 자금조달이 이뤄질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주제발표 후에는 박환용 경원대 교수의 사회로 토론회가 진행됐다.
권주안 주택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시공사들이 부담하고 있는 PF의 리스크 분산을 위해서는 자본시장통합법을 통한 IB 투자은행의 원활한 자금조달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김승배 피데스개발 대표는 “개발사업에서 있어 시행사 및 시공사 선정 시 객관적이고 타당한 평가를 할 수 있는 기관이 있어야 한다”며 “금융기관과의 관행적인 신뢰관계가 아닌, 자금조달 방법 다양화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송현담 대한주택건설협회 정책본부장은 “부실 PF사업장을 정상화할 수 있는 대안 마련과 PF 지급보증 부담을 재무적 투자자(FI) 등에도 나눌 수 있는 구조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상근 롯데건설 상무는 “프로젝트에서 있어 사업의 타당성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선임기관이 있다면 재원 확보가 보다 수월해 질 것”이라고 말했다.
신완철 한화건설 상무는 “이번 세미나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PF를 통한 부동산 개발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부동산 시장 활성화를 위한 새로운 대안을 모색하는 좋은 계기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