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아 제2의 리비아 되나...유혈진압 강행 민간인 포함 35명 사망

2011-11-15 18:39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이규진 기자) 중동의 독재국가 시리아가 유혈 진압을 강행하며 '제2의 리비아'가 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외신에 따르면 국제사회의 비난에도 불구하고 시리아 정부는 지난 14일(현지시간) 민주화를 외치는 민간인을 포함해 총 35명을 총격을 가해 사살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권단체인‘시리아 인권감시(SOHR)’는 이날 다라 남부지역에서 보안군의 발포로 민간인 16명이 숨졌다고 밝혔다.

이날 암만과 다마스쿠스를 잇는 고속도로에서 반군이 바샤르 알 아사드 대통령의 보안군이 타고 있던 버스를 공격, 양측이 교전을 벌이면서 인명피해가 난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군 탈영병으로 보이는 무장병력과 정부군이 충돌해 정부군 19명이 숨졌다고 인권단체는 전했다.

유엔은 지난 3월 중순 이후 시리아의 폭력사태로 현재까지 3500여명이 사망했다고 추정했다.

국제사회에서 시리아에 대한 압박은 더해지고 있다. 유럽 외무장관들은 이날 벨기에서 회동하며 시리아의 개인 및 기관 18곳에 추가 제재를 부과하기로 했다. 제재 조치로 유럽투자은행(EIB)와 시리아 간의 거래는 동결되며, 또한 시리아 정치인 56명 외에 아사드 대통령의 최측근으로 알려진 군부 인물 18명이 추가로 블랙리스트 명단에 올라 해외 자산이 동결되고 여행도 금지된다.

미국 백악관도 이날 성명을 통해 “아사드 정권이 점점 고립돼 간다는 사실이 명확하다”면서 아사드 정권이 적법성을 상실했다는 점을 거듭 강조했다. 시리아를 회원국 자격에서 정지한 아랍연맹(AL)도 인권운동가, 군사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500여명의 대표단을 시리아에 파견, 민간인 보호 활동을 펼칠 계획이다.

그러나 시리아의 왈리드 알-무알렘 외무장관은 "AL을 지지하는 미국의 태도는 선동적"이라고 비난하며 서방이 협력해 군사작전을 펼쳤던“리비아 시나리오는 되풀이되지 않을 것”이라고 반발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