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건은 기성정치에 대한 불만과 불신이 키워낸 시민사회세력을 향한 기대감이 내년 양대 정치이슈까지 이어지겠느냐, 실력발휘가 가능하겠느냐다.
이에 전문가들은 앞으로 선거의 대결 구도가 정치권 대 비정치권 구도로 짜여질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한다. 하지만 성공 가능성에 대해선 시민사회세력의 비조직화와 이미지 정치화 등을 이유로 신중론과 부정론을 제기하고 있다.
일단 시민사회의 정치적 참여가 내년에도 이어질 것이란 게 대체적인 전망이다. 박원순 서울시장의 당선이 기성정치 타파와 변화의 추구라는 사회적 요구를 반영한 것이며, 그 대안으로 기존 야당이 아닌 제3의 길을 모색하고 있다는 것이다.
신율 명지대학교 교수는 “서울시장 선거로 탈이념 현상이 나타났다고 볼 수 있는데 이는 전국적인 현상으로, 새로운 정치 실험을 하겠다는 국민들의 의지의 표명”이라며 “시민사회와 기성정치의 대결구도가 짜여지고 있으며, 야권통합 논의는 이런 대결구도를 확인해 주는 과정”이라고 설명했다.
신 교수는 이어 “박원순 시장의 탄생으로 야권 통합 논의에서 시민사회의 목소리는 매우 커질 것”이라며 “이 상황에서 ‘혁신과 통합’이 주도적 역할을 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유용화 정치평론가도 “반한나라당 정서를 지닌 중도 세력들이 정치 전면에 나서며 기존 정당정치의 질서가 허물어지는 계기가 됐다”며 “이명박 정권 레임덕 가속화, 한나라당 전면 쇄신 등을 포함해 메가톤급 지각변동을 불러왔다”고 말했다.
하지만 시민사회의 성공과 현실 정치의 대안 가능성 여부에 대해선 신중론이 우세했다.
김호기 연세대 교수는 “기존 정당들이 시민사회의 정치적 대표성을 갖지 못하는 정당정치의 위기”라면서도 “시민정치에선 정당 노선과 정책보다 리더 이미지와 스토리가 강조되는 경향이 있어 시민정치는 제도화되지 못한 채 열광과 환멸의 정치적 악순환을 되풀이할 가능성이 있다”고 평가했다.
김민전 경희대 교수는 “안철수 교수의 높은 인기는 그가 정치권 밖에 있기 때문”이라며 “민주당이나 통합 정당에 섣불리 들어가면 지지층이 오히려 줄어들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한편 박원순 서울시장의 역할론을 꼽는 목소리도 있었다.
민주당 관계자는 "앞으로 1년 동안 박 시장의 행보와 행정능력, 혁신 등이 비조직화 된 시민사회를 평가하고 대안으로 인정할 잣대가 될 것"이라며 "특히 선거를 앞두고 시민사회단체가 우후죽순 생길 가능성도 높아 이와 선을 긋기 위한 노력도 필요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