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는 “최근 맞벌이 부부등의 증가로 보육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보육시설을 종전보다 늘리고 지원˙감독기능도 강화하는 등 수요자 중심의 보육정책을 펴나가기로 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를 광명시는 국공립 및 공공형 보육시설 확대를 비롯, 수요자 중심의 보육서비스 실시, 민간보육시설 공공성 강화 등 다양한 보육 정책을 마련한 상태다.
11월 현재 파악된 광명시 보육시설은 374개소, 이 가운데 부모들이 선호하는 국공립 보육시설은 21개소다.
시는 동별로 균형적인 국공립 보육시설 확충을 위해 소하1동에 어린이집을 건립하고 있으며, 내년 10월 이전을 앞두고 있는 철산3동 주민센터를 리모델링해 어린이집으로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또 현재 7개소에 대해 시범사업으로 실시하고 있는 공공형 어린이집도 확대하고, 내년부터 24시간 어린이집도 광명·철산·하안·소하권 등 권역별로 1개소도 지정 운영할 예정이다.
시는 이와함께 보육시설에 대한 지원대책과 별도로 관리감독 기능도 대폭 강화해 정기 및 수시 지도점검을 실시하고 규정위반 시설에 대해 최고 1년 이내의 운영정지 및 자격정지 처분 등 강력한 행정처분도 실시키로 했다.
한편 시 관계자는 “맞벌이 부부들의 양육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기 위해 보육지원정책들을 세심하고 실속있게 마련했다”면서 “학부모들이 안심하고 아이들을 맡길 수 있도록 평소 보육시설에 대해 철저히 지도점검을 실시할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