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한국소비자원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서민금융종합지원센터에 접수된 상담 건수는 1만1073건. 이는 지난해 전체 건수 1만3528건에 육박한 수치로 전년 동기보다 86.0% 급증한 것이다.
2009년 전체 서민금융 상담 건수(6114건)의 배에 이르는 수치다. 서민금융 상담 건수는 2007년 3421건, 2008년 4075건이었다가 2010년부터 1만건을 돌파했다.
올해 상반기 접수 건수 가운데 대부업 등록 조회 여부, 압류ㆍ경매 등 강제집행, 제도권 금융기관 조회 등 제도 상담이 7455건으로 전체의 67%에 달했다. 이어 채권추심(992건), 대부중개(917건), 대출사기 등 기타 부당(838건), 고금리(422건) 상담 순이었다.
이처럼 서민금융상담이 급증한 것은 최근 경제난에다 시중 은행의 대출 규제까지 이뤄지자 저신용자들이 대부업체로 몰렸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특히 대부업체 등록 여부를 문의하는 제도상담이 올해 상반기에 7455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2921건)보다 2배 이상 늘었고, 대부중개와 대출 사기 등 기타 부당 신고도 배 가까이 증가했다.
불법 대출중개수수료 신고는 대부업체 이용자가 전체의 45.4%로 가장 높았다. 평균 대출중개수수료는 13.6%인데 비해 대부업체는 18.4%에 달했으며 저축은행 및 여신금융전문회사는 11% 수준이었다.
이와 함께 제도권 금융기관이 아니면서 고수익을 미끼로 투자 명목의 투자금을 유치하는 유사수신행위업체가 서울을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올해 상반기에 유사수신제보로 수사기관에 통보된 업체는 34개로, 서울(23개), 부산(3개), 경기(3개) 순이었다.
이들은 주로 대도시 지하철 인근 지역에 있으며 특히 서울 지하철 2호선 강남역ㆍ역삼역과 서울대입구역 일대에서 활동하는 것으로 파악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