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인 타깃 저가여행 상품이 한국 관광산업을 병들게 하고 있다.여행 업체 간 과다 경쟁으로 시장가격이 떨어지자 이익을 내기 위해 저급한 식사제공,쇼핑 강요 등 국내 여행업계에 내려오는 악습이 고스란히 재현되고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관련기사 3면>
◆중국인 관광객은 늘었지만…
중국은 매년 5000만명 이상이 해외여행에 나서는 여행업계의 ‘빅 바이어’로 꼽힌다. 급속한 경제 성장으로 해외여행에 나서는 중국인들이 빠르게 늘어났다는 게 관련 업계의 설명이다.
중국과 비행기로 1시간 거리인 한국 역시 ‘중국 특수’를 누리고 있다.지난해 한국을 찾은 중국인 관광객은 187만명. 2005년 71만명에서 5년 사이 2.6배가 늘었다.올해는 200만명 이상이 한국을 찾을 것으로 예상된다. 업계 전문가는 “중국인 관광객은 일본인과 미국인에 비해 씀씀이가 커 관광,서비스업계 전반에 큰 보탬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쇼핑 없이 이익 못 올려
지난 10월 초 중국 바오젠 그룹은 한꺼번에 1만1000명 가량의 직원을 제주도로 보냈다. 최근 이뤄진 중국인 단체관광 중 가장 큰 규모였다.바오젠 그룹의 중국 내 여행 대행사 CITS MICE는 국내 여행사 네 곳의 도움을 받았다. 문제는 국내 업체 네 곳의 활동 범위가 수도권으로 제한돼 있다는 것. 직접 제주도 프로그램을 관리하기 힘들었던 네 곳 업체는 제주도에 위치한 또다른 여행사와 대행 계약을 다시 체결할 수 밖에 없었다.
업계 관계자는 “고급상품으로 꼽히는 바오젠 관광상품도 여러 단계의 하도급 대행 탓에 지급액 보다 낮은 서비스를 받을 수밖에 없는 구조로 진행됐다”며 “계약에 금지돼 있었음에도 제주도 지역 여행사들 중 상당수가 고객들에게 암암리에 쇼핑을 강요한 것으로 알려졌다“고 말했다.
정부 또한 이러한 문제를 인식하고 있다. 정부는 9월과 10월 사이 38개 여행사를 적발해 행정당국에 고발 조치했다. 또 중국에서 팔리고 있는 한국 여행상품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있다. 전종화 한국관광공사 중국팀 차장은 “행정조치만으로는 부실 업체들을 전부 솎아낼 수는 없는 노릇”이라며 “관련 업체들이 긴 안목을 갖고 상품 고급화에 힘써야 한다”고 말했다.
(아주경제 강경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