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체줄기세포의 증식과 분화 방법을 개발, 세포치료에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10일 교육과학기술부는 강경선 서울대 교수팀이 배아줄기세포와 유도만능줄기세포에서 중요하다고 알려져 있는 SOX2 유전자의 새로운 역할을 성체줄기세포에서 발견, 성체줄기세포의 특성을 조절하고 세포치료제로서의 효용성을 제시했다고 밝혔다.
SOX2 유전자는 OCT4, NANOG, c-MYC 등의 유전자와 마찬가지로 배아줄기세포에서 많이 발현하며, 배아줄기세포의 전분화능 (pluripotency)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 유도만능줄기세포(iPS)를 만드는 인자 중에 하나로서 줄기세포로서의 성질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기능을 한다.
강 교수팀은 SOX2 유전자가 분화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윈트(사람의 암에서 암 억제 유전자를 제외한 가장 중요한 암 유전자) 시그널링에서 길항제로 작용하고 있는 DKK1 유전자를 조절함으로써, SOX2 유전자가 상위단계에서 분화를 관장하고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
또 줄기세포와 암세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c-MYC 유전자와 SOX2 유전자와의 관계를 확인, 줄기세포의 성장과 관련한 SOX2유전자의 조절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 및 SOX2 유전자가 성체줄기세포의 기능에 필수적인 요소임을 증명했다.
강 교수는 “최근 줄기세포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는 세포치료제와 관련, 성체줄기세포의 성장과 분화조절은 줄기세포치료제의 활용 범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중요한 연구”라고 말했다.
한편 서울대 서광원 박사, 박상범·서민수·유경록 박사과정생이 참여한 이번 연구는 교과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줄기세포선도연구팀육성)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이번 연구결과는 세계 최고의 학술지인 ‘네이처(Nature)’에서 발간하는 기초의학분야의 ‘세포 사멸과 분화(Cell Death and Differentiation)’라는 학술지에 온라인(11월 1일)으로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