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류성 식도염은 위에 들어 있는 내용물이 식도로 역류하면서 식도 점막이 파괴되거나 궤양이 나타나는 경우를 말한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 2006년 146만2000명이던 역류성 식도염 진료 환자 수가 지난해에는 286만2000명으로 최근 5년 만에 2배 가까이 늘었다고 6일 밝혔다.
연평균 환자 증가율은 18.3%에 달했다. 인구 10만명당 환자 수도 2006년 3082명에서 지난해 5천852명으로 급증했다. 연평균 증가율은 17.4%에 달했다.
성별 환자 비율은 남성에 비해 여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를 기준으로 인구 10만명당 환자 수는 여성이 6850명, 남성 환자는 4870명이었다.
연령대별로는 남성의 경우 60대(1만493명)·70대(1만320명)·50대(8199명)·80대 이상(7071명) 순이었고, 여성의 경우 60대(1만2702명)·50대(1만1219명)·70대(1만1138명)·40대(8292명) 순이었다.
지역별로는 경북이 6321명으로 가장 많았고 대전이 4602명으로 가장 적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