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은행권과 한국은행에 따르면 예금, 적금, 금융채 등 은행의 자금조달 금리를 나타내는 수신금리는 지난해 말 연 2.85%에서 올 9월 말 3.1%로 9개월 만에 0.25%포인트 뛰었다.
대출금리는 휘발유 가격이 국제 원유 가격에 일정 마진을 붙여 책정되는 것처럼 수신금리를 쫓아가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기업 대출금리가 올해 0.27%포인트 올라 수신금리와 비슷한 상승폭을 나타낸 것과 달리 가계 대출금리는 연 5.35%에서 0.51%포인트 오른 5.86%를 기록해 수신금리 상승폭의 2배를 웃돌았다.
주택담보대출은 지난해 말 연 4.71%에서 5.23%로 0.52%포인트 올랐다.
신용대출은 연 6.65%에서 7.36%로 무려 0.71%포인트 급등해 상승폭이 수신금리의 3배에 가까웠다.
대출금리가 수신금리처럼 0.25%포인트 오르는데 그쳤다면 주택담보대출 4%대, 신용대출 6%대에 머물 수 있었다.
이 같은 대출금리 상승 여파로 은행권 전체에서 449조원을 빚을 낸 가계대출자들은 2조 3000억원의 이자 부담을 추가로 떠안게 됐다.
대출금리 상승폭이 수신금리와 비슷한 수준을 기록했다면 이자 부담은 1조원 이상 완화될 수 있었다.
반면 정부와 기업, 은행 등 경제주체들은 국고채, 회사채, 금융채 등 다른 시장금리가 올 들어 일제히 제자리걸음을 하면서 금리 걱정을 덜었다.
이에 대해 금리 전문가들은 "대출금리가 수신금리를 역행한 것은 문제가 있다"고 지적하면서 "대출금리가 수신금리와 연동될 수 있도록 금리체계를 손질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