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경제부는 3일 국내 석유시장이 정유4사에 의한 독과점 구조로 경쟁이 제한적이라고 보고 가격인하 유도를 위해 이런 내용을 골자로 한 ‘알뜰주유소 추진계획’을 마련했다.
이 계획에 따르면 지경부는 오는 2015년까지 기존 주유소 석유제품 판매가에 비해 ℓ당 100원 안팎 저렴하게 파는 ‘알뜰주유소’를 전체 주유소의 10% 가량인 1300개까지 늘린다.
지경부는 석유공사와 농협중앙회가 국내 정유사 경쟁입찰을 통해 석유제품을 싼 값에 공동 구매하기로 하고 이달 중 공급자를 정하기로 했다.
농협은 이미 대량 구매를 통해 농협 NH주유소 300여개를 알뜰주유소 형태로 운영 중이라는 점에서 석유공사가 여기에 새롭게 가세하는 셈이다. 또 경우에 따라 외국업체의 덤핑물량도 사들여 국내 품질 수준에 맞춰 유통시키기로 했다.
알뜰주유소에 대한 물량 공급은 다음달 개시되며 소비자가 시중에서 접할 수 있는 알뜰주유소 숫자는 NH주유소 300여곳을 포함해 1년내 500여곳이 될 것으로 지경부는 예상했다.
지경부는 이를 위해 최근 3년간 유사석유 판매로 적발된 적이 없는 자가소유 주유소를 우선으로 알뜰주유소 사업에 참여하려는 주유소 사업자를 모집해 공동 구매한 물량을 공급하기로 했다.
정부는 일단 자가폴 주유소 협의회에 가입한 50여곳, 알뜰주유소로 간주되는 농협 NH주유소 300여곳 외에 아직 정유사와 공급계약을 맺고 있는 농협주유소 200여곳이 알뜰주유소로 전환되도록 이끌 방침이다.
자가폴 주유소는 전국적으로 650여개 있다. 일반 주유소에 비해 ℓ당 32원 싸다. 이 가운데 정부는 1년 안에 50개를 시작으로 2015년까지 600개를 알뜰주유소로 전환시킨다는 목표를 세웠다.
정부는 이와 함께 전국 고속도로 휴게소에 있는 주유소 167곳도 2015년까지 모두 ‘EX알뜰 주유소’로 바꾼다는 계획 아래 내년까지 30여곳을 전환시킬 방침이다. 도로공사가 직접 운영하는 주유소는 2곳이며 나머지는 모두 일반 사업자가 임대운영하고 있다.
지경부 관계자는 “석유공사-알뜰주유소간 수급 편의와 거래 투명성 강화를 위해 POS(결제 및 영업관리시스템)를 적용함으로써 실시간 관리체계를 구축하는 방안도 추진할 것”이라면서 "이런 정책은 새로운 방식의 공급자와 판매자의 시장 활동으로 가격인하를 선도하면서 소비자 혜택을 극대화하도록 하려는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