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실질적인 효과를 거두려면 상업적 차원에서 진행 중인 가스 당국 간 실무협의와 북ㆍ러 정부 간 협의 상황을 지켜봐야 한다고 보고 있다.
정부 핵심당국자는 “양국 정상이 기본적으로 이번 사업에 대해 긍정적 생각을 하고 이를 추진하기로 원칙적 합의를 한 것”이라며 “그러나 가시적 성과를 거두려면 풀어야할 과제가 산적해 있어 항간의 기대만큼 빨리 추진되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되기 위해 상업적 차원에서 ‘수지’가 충분히 맞아야 한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한 당국자는 “가스관 천연가스(PNG)가 액화천연가스(LNG)에 비해 3분의 1가량 가격이 낮은 것은 맞지만 제반 건설비용과 통과료 문제도 고려해 전반적인 경제성을 따져봐야 한다”고 우려했다.
또 정부 당국자들은 북한이 경유 가스관을 차단하는 비상사태가 발생할 가능성에 대비해 러시아 측이 확실한 안전보장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한 당국자는 “만일 북한의 방해로 PNG 수송이 어려울 때는 러시아가 책임지고 LNG 등 대체 에너지를 공급한다는 내용의 안전장치가 있어야 한다”면서 “양국 정상이 긴밀히 협력하기로 한 데에는 이 부분에 대한 원칙적 합의가 반영돼 있다고 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한편 외교 소식통들은 가스관이 추후 휴전선을 통과하는 문제에서도 충분한 검토와 당국 간 협의가 필요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정부 당국자는 “2015년부터 2017년 사이에 가스공급이 시작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지만 현재로서는 더디게 시작될 가능성이 크다”면서 “특히 전반적인 한반도 정세여건이 호전되고 당사국들 사이의 신뢰구축이 선행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이 같은 상황변수들로 볼 때 남ㆍ북ㆍ러 3국 간 협의는 연내에 성사되기 어려울 전망이다.
외교가에서는 양국 정상이 가스관 연결사업에 대한 정치적 의지를 확인했다는 점에서 한반도 정세의 긴장도가 완화되는 긍정적 부수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