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고 수준의 부품 경쟁력을 바탕으로 완제품(세트) 판매를 늘리고 이를 통해 다시 부품 분야의 수요가 늘어나는 상호 시너지 효과가 차별화된 실적 달성의 이유다.
삼성전자는 4분기에도 글로벌 경기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있지만, 다양한 신제품 출시와 차별화된 경쟁력 강화를 통해 실적 상세를 이어갈 예정이다.
◆시장도 놀란 3분기 실적
삼성전자는 28일 3분기 연결기준으로 매출 41조2700억원, 영업이익 4조2500억원, 순이익 3조4400억원의 실적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전년동기대비 매출은 3% 증가했지만,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같은 기간 각각 13%, 23% 감소했다.
삼성전자는 “글로벌 톱 수준의 부품 경쟁력을 바탕으로 세트 제품 판매를 늘리고 이를 통해 다시 부품 분야의 수요가 늘어나는 상호 시너지 효과가 발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부문별로 보면 통신의 경우 매출 14조9000억원, 영업이익 2조5200억원으로, 매출은 전년동기대비 37% 올랐고 영업이익은 117% 증가했다.
특히 스마트폰은 하이엔드 대표 모델인 갤럭시SⅡ의 본격적인 글로벌 확산과 보급형 모델 판매 확대로 전분기 대비 40% 이상, 전년 동기 대비 약 300% 수준의 고성장을 달성했다.
반도체 부문은 매출 9조4800억원, 영업이익 1조5900억원을 기록했다. D램 가격이 큰 폭으로 하락하면서 전년동기대비 매출은 11%, 영업이익은 54% 감소했다.
삼성전자는 “반도체 경기가 안 좋은 상황이지만 삼성은 세계 최고 수준의 미세공정 전환을 통해, 원가 경쟁력을 강화하고 모바일·서버향 제품 판매를 확대해 업계 최고 수준의 수익성을 유지했다”고 설명했다.
디지털 미디어&어플라이언스(DM&A)사업부는 전분기 대비 수익성이 개선돼 매출 14조3600억원, 영업이익 2400억원을 기록하며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TV의 경우 선진시장 성장이 둔화된 가운데, 신흥시장은 견조한 수요 증가를 보이는 시장 상황에 신속하게 대응해 판매량이 시장 성장률 이상으로 증가하고 전분기 대비 수익성이 개선됐다.
반면 생활가전 사업은 프리미엄 제품과 신흥시장 판매 비중은 증가했으나 선진시장 경기 침체와 에어컨의 계절적 비수기 진입 등으로 전분기 대비 수익성이 하락했다.
디스플레이 패널 부문은 선진시장의 경기침체로 수요가 예상 보다 부진했고, 전반적인 판가 하락도 지속적으로 이어져 매출 7조800억원, 영업적자 900억원을 기록했다.
◆'반도체·스마트폰' 쌍두마차 4분기도 '씽씽'
삼성전자의 강세는 4분기에도 이어질 전망이다. 메모리 가격이 9월 바닥을 확인 한 안정화되고 있고 스마트폰 강세도 유지될 것이기 때문이다. 환율효과도 예상된다.
특히 반도체 부문은 9월부터 PC D램 가격이 안정되고 스마트기기용 메모리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 4분기 삼성전자의 실적 개선을 이끄는 주역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발광다이오드(OLED) 부문의 경우 수요처를 늘려 후발 업체와 격차를 더욱 확대하고 안정적 고수익 기조를 지속 강화할 계획이다. 액정표시장치(LCD)는 안정적 거래선 기반 등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할 예정이다.
또 통신사업은 세계 최초 아이스크림 샌드위치 레퍼런스폰인 갤럭시 넥서스와 5.3형 대화면에 혁신적인 기능을 탑재한 갤럭시 노트를 통해 더욱 공격적으로 스마트폰 판매를 확대할 계획이다.
DM&A의 경우는 선진시장에서는 프리미엄 제품 마케팅 활동을 강화하고, 신흥시장에서는 지역특화형·보급형 모델 확대를 추진하여, 매출 성장과 수익성 확보에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
남태현 IBK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삼성전자는 3분기 실적을 통해 공정경쟁력, 원가절감 등 경쟁사와 대비되는 경쟁력을 보여줬다”며 “글로벌 IT 수요가 3분기를 저점으로 회복되고 있어 4분기에도 실적 호조세가 유지될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