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계현 경실련 사무총장은 “오세훈 시장이 그간 시민의 직접적 삶에 연관된 문제보다는 외형 치장 위주의 토건 시정을 펼치다 보니 서민들의 삶이 어려웠다”며 “시민의 삶과 직접 연결되는 콘텐츠와 정책을 개발하고 복지나 일자리에 전력을 기울여 지방자치 의 의미에 들어맞는 시정을 펼쳐 달라”고 당부했다.
고 사무총장은 “시의 부채가 굉장히 안 좋은 상황인데 부채 절감 차원에서도 전임 시장이 벌여놓은 토건 중심, 보여주기식 치적 위주의 사업들을 과감히 정리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안진걸 참여연대 사회경제팀장은 “교육과 주거, 의료, 물가 등 민생고로 시민이 많이 지치고 삶이 매우 고단한 현실”이라며 “이런 문제는 중앙정부의 역할이 크긴 하지만 박원순 변호사가 새 서울시장으로서 시민을 주인으로 삼아 이들을 진심으로 위로하는 시정을 폈으면 한다”고 말했다.
안 팀장은 “시민과 소통하지 않는 과거 시정에 대한 염증, 변화에 대한 갈망이 이번 선거를 통해 표출됐다고 본다”면서 “민생고에 시달리는 시민의 요구에 적극 귀기울이는 시장이 되길 바란다”고 주문했다.
그는 “박 변호사가 참여연대 출신이라도 권력 감시라는 시민단체의 고유 역할은 변하지 않으며 참여연대 출신 박 시장이 이제 참여연대의 감시를 받는 상황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바른사회시민회의 전희경 정책실장은 “서울시가 수도로서 갖는 상징성이나 예산 규모 등으로 봤을 때 보궐선거가 치러지게 된 과정까지 발생한 행정 공백을 빨리 따라잡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전 실장은 “오세훈 전 시장이 했던 것 중에서 계속 이어나갈 부분이 있는지 검토하고, 개혁의 필요성이 있는 부분을 잘 추리되 서울시민이 ‘개혁 피로증’을 앓지 않도록 완급을 정하고 우선순위를 정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진보나 보수 어느 한 편의 시장이 아니라 모두의 시장으로서 시정을 펼치고 선거 후유증을 빨리 극복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염형철 서울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은 “시민단체 출신인 박 변호사는 오세훈 전 시장과 달리 전시성이 강한 대형 토목사업을 줄이고 시민과 소통의 폭을 넓히는 시장이 될 것이라는 점에서 시민사회의 기대가 크다”고 말했다.
염 처장은 그러나 “선거가 끝나면 시민단체는 본연의 위치로 돌아와 냉정한 비판자의 자리를 지켜야 할 것”이라며 “당장 다음 달 내년 시 예산안이 의회로 넘어오는 만큼 비판을 아끼지 않겠다”고 선을 그었다.
김동규 한국진보연대 민생국장도 “박 변호사의 철학이나 그간 활동을 봤을 때 서민 생활과 복지 등 측면에서 전보다 나은 정책을 펼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 국장은 “박 변호사는 시민의 자유와 민주주의 보장 측면에서도 오세훈 전 시장이 시청광장 사용 등 문제로 시민사회와 충돌을 빚은 것과는 다른 모습을 보여줄 것”이라며 “캠프 측과 다양한 정책 협약을 하고 이행 여부를 감시하면서 시민단체 본연의 역할을 계속 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인권연대 오창익 사무국장은 “선거 운동 기간에 서울 곳곳에서 변화를 향한 시민의 열망이 확인된 만큼 새로운 패러다임을 보여주길 바란다”며 “토건 정책을 지양하고 복지를 강화하되 무엇보다 다양한 시민과 소통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구경숙 한국여성단체연합 사무처장은 “서울시민의 반이 여자지만 여성 관련 예산은 보육까지 합쳐 6%밖에 안 되는 것으로 안다”며 “관련 예산과 정책을 늘려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또 “구체적으로는 여성을 위한 안정적인 일자리를 창출하고 성폭력으로부터 안전한 서울을 만들어줬으면 한다”고 덧붙였다.
국가인권위원회 위원장을 지낸 안경환 서울법대 교수는 “서울시장은 대통령을 염두에 두고 준비하는 자리가 아니라 그야말로 서울시 살림을 챙기는 사람”임을 강조했다.
조대엽 고려대 사회학과 교수는 “시장이 의회와 열린 관계를 맺고 시민과 직접 소통을 강화하는 것이 민주주의의 근간”이라며 “전 시장의 전철을 밟지 말고 의회와 시민과의 소통을 강화하는 열린 시정을 폈으면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