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영상 연구원은 "경쟁리스크보다 시장효율성 상승 효과에 더 주목해야 한다"며 "뉴미디어 플랫폼 다변화에 따른 컨텐츠 시장확대는 킬러컨텐츠로의 지상파방송의 경쟁력과 가치상승을 재부각시키고 있다"고 설명했다.
민 연구원은 "종편채널의 시장진입에 의한 방송컨텐츠 유통시장 확대 효과, 한국방송광고공사 독점체제 완화(지상파 직접광고판매 추진 등)에 의한 광고판매 효율이 상승할 것"이라며 " KBS2 광고축소 및 MBC 매체지배력 하락의 반사이익 수혜, 지상파방송컨텐츠의 유료화 수혜(SO재전송 추가수익 기회) 등이 SBS의 중장기 실적대비 주가수준(펀드멘털)의 견조한 상승 기조를 견인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