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 초반 전폭적 지지에 나섰던 민주당은 최근 박 후보의 유세활동 및 정책지원, 한나라당의 네거티브 반격에 미온적으로 대처하는 모습이다. 노무현 전 대통령 지지세력인 국민참여당이나 민주노동당 등 진보 정당들도 선긋기에 나서고 있다.
20일 민주당 손학규 대표는 박 후보의 유세일정 9개 중 단 3개만을 동행했다. 최근 5일 동안 치러진 유세에서도 20~30%의 참석률을 보이며 선거초반 모든 유세일정에 동행하며 전폭적 지지를 보냈던 것과는 대조를 이루고 있다.
이는 최초 15%포인트 이상 벌어졌던 지지율 격차가 최근 각종 여론조사에서 역전 혹은 오차범위 내의 접전을 벌이자, 박 후보의 패배를 대비해 책임론을 의식, 어느정도 거리두리에 나선 것이다.
특히 당 비주류가 박 후보의 입당을 강하게 주장했으나, 손 대표가 박 후보의 입당 불가 원칙을 존중한 점에 대한 책임론을 회피하기 위한 조치로도 해석된다.
민주당 관계자는 "박 후보를 민주당 후보로 내세웠다면 당 전체의 전폭적인 지지와 조직활동, 네거티브 공세 대응 등 체계적인 선거활동이 가능했을 것"이라며 "박 후보가 입당을 거절한 것은 기존 야당들의 지원을 거절한 셈"이라고 평가했다.
손 대표 등 민주당 지도부 입장에선 만약 박 후보가 서울시장 선거에서 낙선할 경우 책임론을 피하기 어려우며, 중장기적으로 총선과 대선까지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하고 있다.
이 같은 분위기를 감지한듯, 노무현 전 대통령의 지지층인 국민참여당이나 민주노동당 등 진보 정당들도 박 후보 지원에 소극적인 모습이다.
박 후보는 그동안 유시민으로 상징되던 열린우리당 노선과 전략으로 선거에 임해왔다. 기존의 민주당의 틀에서 벗어나, 비호남 유권자와 '시민운동가'의 이미지를 통해 한발 빗겨나면서 중도층에 어필해 온 것.
하지만 선거일이 다가올수록 오히려 이러한 전략이 발목을 잡는 형국이다.
유시민 대표 등은 노무현 전 대통령의 선례를 압축적으로 되풀이하고 있지만, 오히려 친노계의 정체성을 침범하게 되며 서로의 거리가 멀이지고 있는 모습이다.
문재인 노무현재단 이사장이 박 후보의 지지를 호소하고 있지만, 이는 야권 통합을 통한 대권 도전이란 문 이사장의 정치적 목적이 더 크다는 것이 정치권 안팎의 시선이다.
민노당도 박 후보의 지원에 나서고 있지만 이정희 대표 등 당지도부 차원의 간헐적 차원에 그치고 있으며, 진보신당 등 기타 야당은 박 후보에 대한 지원 계획을 잡지도 못한 실정이다.
이는 야권통합 문제가 진척되지 않는 상황서, 제3의 정치 세력의 등장을 경계한 움직임이라는 게 일반적인 평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