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시대 핵심100인] <75>장친성 – 차기 국방부장 유력한 작전통

2011-10-20 16:07
  • 글자크기 설정
(베이징=조용성 특파원) “아시아태평양은 아시아각국의 아시아태평양이지 어느 한 국가의 아시아태평양이 아니다.” 지난 8월 중국 인민해방군 제1부참모장인 장친성(章沁生)은 싱가포르에서 열린 제7차 아시아태평양육군지도자회의에서 미국의 아시아 각국에 대한 간섭을 경계하는 듯한 발언을 했다. 그는 이어 “대국이든 소국이든 모두 아시아태평양의 주인”이라며 “대국은 대국으로서의 책임이 있고, 소국은 소국으로서의 의무가 있다”고 말했다. 장 부참모장은 또한 “어떤 국가든지 이 같은 책임과 의무에서 벗어날 수 없는 법”이라며 “대국이라고 해서 하고 싶은 데로 행동할 수 없으며, 소국은 주변국을 의식하지 않고 고집스럽게 자기 주장만을 내세워서도 안된다”고 강조했다. 최근 미국의 대만무기판매와 베트남과 필리핀과의 남사군도 분쟁을 염두에 둔 발언으로 해석됐다.

장친성은 “각국은 모두 안정을 바탕으로 공통의 이익을 확대시켜야 하며 평화스러운 방법으로 분쟁을 해결해야 한다”고 힘을 주어 말했다. 그는 특히 ‘자신이 하기 싫은 일을 남에게 강요하지 말라’는 뜻의 공자에 나오는 ‘기소불욕, 물시어인(己所不欲 勿施於人)’을 소개하기도 했다. 장친성은 또 “안정된 환경은 중국발전의 전제조건일 뿐 아니라 아시아 번영의 전제조건”이라며 “상호신뢰와 교류를 통해 소통을 지속해야 하며 특히 각국의 핵심이익을 존중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그는 인민해방군 내에서 강경파에 속하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대학교수처럼 온화한 풍모를 지니고 있으며, 대화에 사용하는 단어 역시 고급스럽고 부드러운 말을 채택하지만 그 안에는 강경한 입장을 내포하고 있다. 특히 대만과의 관계에 있어서는 강한 발언을 쏟아내곤 했다.

그가 2002년 인민해방군 국방대학 교육장이던 시절 대만매체의 인터뷰를 했던 일화는 유명하다. 그는 대만의 기자들에게 무척 겸손하고 공손한 태도로 인사를 나눴고 두손으로 깍듯하게 명함을 교환했다. 친절하게 질문에 응대하던 그는 중국의 대만정책에 대한 질문을 맞닥뜨리자 “인민해방군은 반드시 강한 군사력을 확보해야 하며, 대만을 하나의 중국이라는 플랫폼안에 단단히 묶어두어야 한다”며 상당히 강한 표현으로 대답했다. 강한 표현이었지만 그의 표정과 자세는 온화함을 잃지 않았었다.

2005년 중국이 처음으로 실시했던 ‘평화의 사명(和平使命)’ 훈련에서도 그는 대만에 대해 민감한 반응을보였었다. 중국과 러시아가 합동으로 매년 벌이고 있는 이 훈련은 장친성 부참모장이 기획한 것이다. 당시 ‘평화의 사명 2005’ 훈련은 제1단계 해상 봉쇄, 2단계 상륙훈련, 3단계 강제격리의 3단계로 실시됐다. 당시 총참모장 조리였던 장친성은 “무기사용 수준은 무척 높았고 현장의 국방부장도 높은 평가를 내렸고 각 고급 장성들은 격려의 박수를 아끼지 않았다”고 말했다. 실제 이 훈련으로 인해 장친성의 작전능력은 인민해방군 내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하지만 이후 대만언론에서 대만삼군대학 교관의 발언을 인용해 이 훈련을 “낙하훈련은 고도가 과도하게 높았고, 잠수함은 밀집해 있어서 위협적인 훈련은 아니었다”고 평가하자 장친성은 “대만의 군관은 연합훈련을 평가할 자격이 없다”라며 “그는 현장에 없었기 때문에 전혀 상황을 모르며, 이 같은 평가는 무책임하고도 완벽하게 잘못된 것”이라고 발끈했다.

장친성 부참모장은 후진타오(胡錦濤) 중국 국가주석의 신임이 두텁다. 차기 국방부장을 맡아 중앙군사위 위원 자리에 오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홍콩과 마카오의 군사 전문가들은 장 부총참모장이 총참모장이나 국방부장을 맡을 적임자로 꼽고 있다. 마카오에 활동하는 군사전문가인 앤서니 웡은 장 부총참모장에 대해 “중국의 이해관계를 지키기 위해 확고한 태도를 취할 수 있는 매우 유능한 인물”이라고 평가하기도 했다.


1948년 5월 산시(山西)성 샤오이(孝義)에서 태어난 장친성은 인민해방군 장갑병학원을 나와 군에 입문했다. 이후 난징(南京)육군지휘학원과 국방대학에서 학습했다. 1998년부터는 인민해방군 국방대학에서 부교육장으로 근무했다. 4년후에는 교육장에 올랐다. 그는 5년동안 국방대학에 있으면서 육군 작전계통의 전문가로 이름을 날렸다. 이어 그는 2003년 인민해방군 총참모부 작전부장으로 등용됐고 2004년에는 총참모장 조리(助理)로 활동하다가 2006년에 인민해방군의 대외관계를 총괄하는 부총참모장에 올랐다. 같은해 중장으로 진급했다. 2007년 부총참모장 자리를 마샤오톈(馬曉天)에게 넘겨주고 광저우(廣州)군구 사령관으로 자리를 옮긴다. 그리고 2009년 다시 인민해방군 총참모부로 돌아와 제1부참모장에 올랐다. 2010년에는 상장으로 진급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