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술은 극히 작은 영역에서 밀도가 높은 반도체 메모리를 만들 수 있는 고밀도 전자회로 패터닝을 비롯해 고성능 다중물질 나노센서 개발, 단백질·유전자 조작, 세포조작 및 자극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그동안 기술적 한계로 나노미터 크기의 섬세한 분자제어가 어려워 개발이 더뎠던 초소형·휴대형 센서 개발에도 기여할 전망이다.
이번 연구는 세계적 권위의 나노기술 학술지인 ‘나노레터스(Nano Letters)’ 10월 3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