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와 업무관계자들이 평가한 청렴도 조사에서는 금융감독원과 국세청, 금융위원회가 하위권을 기록했다.
국민권익위원회는 `2011년도 공공기관 청렴도 측정결과‘ 중 기관별 특성을 감안해 수사ㆍ조사ㆍ규제 기관 14곳의 측정 결과를 12일 우선 발표했다.
금융위를 제외한 대상기관 13곳 중 종합청렴도가 가장 낮은 기관은 검찰청으로 10점 만점에 7.53점을 기록했으며 농식품부(8.03), 경찰청(8.08), 해양경찰청(8.23) 등의 순이었다.
이에 비하면 공정거래위원회(8.61)와 관세청(8.60), 식품의약품안전청(8.56), 환경부(8.56) 등은 높은 점수를 받았다.
금융위는 적정 표본수 조사가 이뤄지지 않아 내부 청렴도 평가해 8.71점이 나왔다.
외부청렴도(민원인 대상)와 내부청렴도(소속 직원 대상)를 살펴보면 국세청과 검찰청은 각각 9.22점과 8.71점의 후한 내부 점수를 받았지만 외부청렴도는 8.47점과 7.26점으로 낮았다.
반면 방송통신위원회와 환경부는 외부청렴도에서 8.72점과 8.82점을 기록했지만 내부에서 평가한 청렴도는 각각 8.03점과 8.37점 이었다.
특히 올해는 내ㆍ외부청렴도를 합산하는 종합청렴도에 부패행위 징계자와 청렴도 측정시 신뢰도 저해 행위에 대한 감점도 반영됐다.
권익위는 "국토해양부와 국세청, 경찰청 등은 부패행위 징계자로 인한 감점이 컸으나 자체 적발에 의한 징계가 50% 이상으로 내부 자정노력도 높다"고 설명했다.
국토부는 평가 측정 대상 민원인을 사전 접촉해, 관세청은 민원인 명부를 일부 누락해 각각 감점을 받은 것으로 드러 났다.
한편 권익위가 처음으로 학계와 국회, 감사원 등 전문가와 업무 관계자 1312명을 대상으로 평가 주체를 확대해 시범 평가한 결과 금감원(5.90)과 국세청(5.98)이 종합청렴도 점수와 2.5점 안팎의 차이를 보이며 최하위를 기록하기도 했다.
최근 `주말 연찬회’로 물의를 빚은 국토부(6.82)를 비롯한 금융위(6.36), 검찰청(6.70), 식약청(6.95) 등도 평가가 저조했다.
권익위는 이날 발표한 곳을 제외한 나머지 중앙행정기관, 지방자치단체, 교육청, 공기업 등 공직유관단체 670여곳에 대한 측정 결과를 오는 12월 발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