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과 통합은 △당내 정치세력의 정체성·자율성 보장을 위해 당 집단지도체제 운영 △연합 정당의 틀 내에서 기존의 당원 명부와 조직의 독자 관리 △내년 총선 이후 국고보조금 당선자 비율에 따라 배분 등의 방안을 내놨다.
통합 방식은 기존 정당의 당원에 더해 혁신을 바라는 국민들이 당원으로 새롭게 참여하는 방식을 지향하기로 했다.
통합 시점은 민주당 전당대회가 열리는 11∼12월로 잡았고 10ㆍ26 재보선이 끝난 후인 11월 각 정당, 단체, 개인 등이 참여하는 '혁신적 통합정당 추진기구'를 구성하자고 제안했다.
민주당에 대해서는 헌신과 결단으로 통합의 조건을 만드는 노력을 기울일 것을, 진보정당에 대해서는 소통합을 넘어 대통합의 길에 나설 것을 주장했다.
그러나 이같은 방안에 대한 야당의 입장이 엇갈려 실제 성사되기까지는 진통이 예상된다.
최근에는 민주노동당-진보신당, 민주노동당-국민참여당 등 진보정당간 소통합까지 무산된데다 진보정당은 민주당에 대해 통합 대상이 아니라는 점을 명확히 하고 있어 향후 전망을 어둡게 하고 있다.
민노당 우위영 대변인은 “민주당은 통합이 아니라 연대의 대상이라는 점은 그동안 충분히 검증됐다”고 말했고, 진보신당 김종철 대변인은 “뭉뚱그린 정책이나 자리 배분만으로 통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참여당 유시민 대표는 이날 불교방송에 출연, “시간이 부족하다. 지금대로 가면 (통합이) 잘 안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다만 계속해서 대통합을 주장해온 민주당 이인영 야권통합특위 위원장은 “민주당이 밝힌 방향과 함께 가고 있다”며 “구체적인 내용은 충분히 검토해볼 만한 가치가 있다”고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