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종훈 기자)홍영표 의원(인천 부평을)은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매립지에서 발생하는 악취는 매우 심각한 수준이며, 이를 조속히 해결하기 위해서는 사후 관리 보다 사전 관리가 더욱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홍영표 의원은 수도권매립지 악취발생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제2매립장의 경우, 현재 악취제거를 위해 699개의 포집정이 설치되어 있으나, 이중 35개가 다이크의 균열로 보수 중이어서 악취가 발생하고 있으며, 복토표면 균열로 인한 악취도 발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홍의원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복토표면의 균열, 다이크 및 포집 관로의 균열 등에서 발생하는 악취에 대한 ‘악취 경보시스템 구축’이 시급히 필요함에 따라 경보시스템 구축 수립을 요구하는 한편 악취발생에 대한 ‘사전 예고제’ 등의 사전 관리계획을 주문했다.
또한 ‘악취물질 발생원인 조사’를 통한 “악취 전파경로” 연구를 형식적으로 진행할 것이 아니라, 철저한 조사 후 악취 민원 집중
지역을 대상으로 맞춤형 대책 수립을 촉구했다.
아울러 생활 쓰레기 매립에 따른 악취대책 역시 미흡하다고 지적했다.
현재 유일한 대책은 탈취제 살포인 상태로 공사에서 연간 탈취제 구매액은 약 4억원정도에 불과하다고 따졌다.
이어 이는 1년간 매립 면적 190만평방미터(약60만평)로 나누면, 평당 하루 1.8원 정도의 탈취제를 살포하는 것으로 형식적 살포에 그치고 있다고 꼬집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