늙어가는 대한민국…“일자리를 통한 노후준비 가능해야”

2011-09-29 17:14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박선미 기자) 고령자(65세 이상)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이들 중 61%나 노후준비가 돼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정부가‘일자리를 통한 복지’를 내세웠다면, 고령 구직자들의 노후준비도 일자리를 통해 이뤄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29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1 고령자통계’에 따르면 2010년 현재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율은 전체인구의 11.0%로 지속적으로 증가해 2018년 14.3%로 증가할 전망이다.

고령자 10명 중 3명이 노동시장에서 은퇴하지 못하고 경제활동에 참가하고 있지만, 노후 준비가 잘 돼 있는 것도 아니다. 노후 준비를 못했다는 사람이 61.0%에 달했다.

55~79세 고령인구 중 향후 취업을 희망하는 사람의 비율은 58.5%였다. 주된 이유는 ‘생활비 보탬’이 54.9%로 가장 많았다. 노인이 되어서도 생활비를 위해 노동 시장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실제로 고령자의 생활비 마련 방법은 본인 및 배우자가 직접 부담하는 비율이 51.9%로 가장 많았다. 이중 근로소득 및 사업소득이 49.7%였다.

전문가들은 갈수록 고령가구의 비중이 증가하는 지금 좀 더 체계적인 고령자 노동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이찬영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은 “정부가 내년도 예산안에서 22만개의 노인일자리를 지원한다고 했지만 재정건전성 때문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며 “민간기업과 연계한 일자리를 창출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연구원은 정부의 노인일자리 사업에 기업들이 참여하도록 시스템화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그는 “고령자들이 일을 통해 얻은 노하우가 사장되지 않도록 훈련프로그램을 정례화해 은퇴를 하더라도 재취업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돼야 한다”고 제시했다.

익명을 요구한 노동 연구관계자도 기업의 협력이 절실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정부가 내놓은 일자리는 문화해설사를 빼면 자연환경지킴이나, 방범순찰, 간병인 등 단순노무직에 불과하다”며 “고령인구의 직업적 다양성을 위해서는 기업이 협력하는 문화가 만들어져야 할것”이라고 말했다.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민간 기업은 아직까지 노인일자리에 대한 사업에 선뜻 나서지 않으려는 것이 현실”이라며 “정부에서도 노인일자리의 다양성을 위해 다각도로 검토하고 있다”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