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관계부처는 임금인상 기준과 재원 등 세부 내용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임금인상분은 해당 공기업이 총 인건비 범위에서 예산을 결정하기 때문에 재정 마련에는 큰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인상분을 한꺼번에 회복해주면 해당 공기업 입장에서 재정부담을 느낄 수 있기 때문에 단계적으로 반영할 가능성이 높다.
당정이 임금인상을 검토 중인 대상은 2009년 이후부터 올해까지 공공기관에 입사한 1~3년차 대졸 신입사원이다. 재정부 기획제도과는 알리오(공공기관정보공개사이트)에 근거, 약 1만8000명 정도로 어림잡고 있다.
최종안은 공공기관 운영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결정된다.
지난 2009년 당시 정부는 공공기관 초임을 2000만~2500만원은 10%, 2500만~3000만원은 10~15%, 3000만~3500만원은 15~20%, 3500만원 이상은 20~30%로 평균 15%정도 낮췄다.
하지만 당초 의도와는 달리 고용 증대 효과는 보지 못하고 신입사원의 연봉만 삭감됐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재정부 기획제도과 관계자는 "올해 신입사원을 아직 뽑지 않은 곳도 있기 때문에 이들까지 포함하면 2만명이 넘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현재 1~3년차 신입사원들은 지난 7월분부터 소급해 오는 10월부터 적용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른바 '신의 직장'으로 불리며 신입사원의 임금을 대폭 삭감했던 금융권도 이번 결정을 계기로 임금 인상을 기대하고 있다.
임금 인상에 해당되는 직원은 약 4000~5000명으로 전체 은행권 종사자 35만명과 비교하면 적은 수치다.
삭감된 임금을 한꺼번에 인상해준다고 해도 총 310억원 정도 밖에 소요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임금 인상 시기 및 규모에 있어서 노조측과 이견이 있는 상황이다.
앞서 신동규 은행연합회 회장은 "20% 깎인 5000명 정도만 올려주면 되니까 '원샷'으로 해결해도 310억원 밖에 안 든다"며 "하지만 공기업 임금 인상에 대한 정부 지침이 결정되지 않아 지켜보고 있는 중"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이번 결정으로 금융권 내부에서는 조만간 신입사원들의 임금 삭감분이 정상화될 것이라는 기대가 커지고 있다.
한 금융공기업 관계자는 "잡 셰어링 여파로 삭감된 신입사원들의 임금 인상에 대해서는 기본적으로 찬성"이라면서도 "하지만 앞으로 들어올 신입사원 임금을 어느 수준으로 결정해야 할지, 또 기존 직원과의 임금 격차 문제 등 풀어가야 할 숙제도 많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