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회장은 2009년 9월부터 3개월간 창원지검에서 SLS조선의 전신인 신아조선 분식회계 의혹 등으로 수사를 받고 주식회사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 위반과 뇌물공여 등 혐의로 기소돼 작년 11월 1심에서 징역 3년에 집행유예 5년을 선고받았다.
그는 SLS조선의 워크아웃 신청이 공식절차 없이 이뤄졌고 산업은행이 선주의 의사와 달리 26척의 선박건조를 취소해 2조원대의 손실이 발생한 데다 SLS조선소 명의의 배 4척도 산업은행 명의로 바뀌었다며 억울함을 주장했다.
이 회장은 최근 “검찰 조사를 받고 나와보니 2조4000억원짜리 SLS그룹이 해체됐다”며 “누가 왜 회사를 이렇게 만들었는지 진실을 밝혀달라”고 밝힌 바 있다.
검찰 관계자는 “배를 파는 과정에서 정말 의혹이 있었는지 등을 세밀히 들여다볼 것”이라고 설명했다.
검찰은 산업은행으로부터도 관련 자료를 제출받아 조사할 방침이다.
아울러 당시 창원지검이 이 회장으로부터 압수한 다수의 수첩도 분석해 제기된 의혹을 살펴보고 있다.
민주당 박영선 의원은 지난 27일 서울중앙지검 국정감사에서 “2009년 검찰이 (이 회장) 수첩을 압수수색해갔는데 거기에 박영준 전 지식경제부 차관에게 500만원을 줬다는(향응 접대했다는) 내역이 있다고 한다”고 주장했다.
검찰 관계자는 “수첩이 여러 개인데 제기된 의혹에 관련된 내용이 있는지 살펴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검찰은 이 같은 기초조사와 함께 이 회장을 빠른 시일 내에 재소환할 방침이다.
검찰은 이 회장으로부터 거액을 받았다는 의혹이 제기된 신재민 전 문화체육관광부 차관을 비롯해 명예훼손 혐의로 이 회장을 고소한 박 전 차관과 곽승준 미래기획위원장, 임재현 청와대 정책홍보비서관도 조만간 소환해 사실 관계를 확인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