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국토해양위원회 안홍준(한나라당) 의원은 20일 한국토지주택공사(LH)에 대한 국정감사를에서 "서민들을 위한 공공임대주택에 92평(302㎡) 집이 있는 다주택자가 버젓이 입주해 살고 있었다"며 "임대주택 입주자 관리가 엉망"이라고 주장했다.
안 의원이 LH로부터 제출받은 '입주자격 부적합 가구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7월 이후 현재까지 주택 소유, 소득 초과 등으로 임대차 계약이 해지된 가구는 총 538가구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주택 소유로 인한 자격 상실자가 서울, 경기에만 91가구에 달했다. 경기 남양주시 마석의 공공임대주택에 입주한 70대 남성의 경우 경기도 지역에 연면적 302㎡짜리 주택을 보유한 다주택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이천 갈산단지 임대주택에 입주한 50대의 남성도 경기도 지역에 226㎡ 규모의 주택을 보유하고 있었다.
부적격자가 보유한 주택은 규모별로 297㎡(90평) 이상이 1가구, 198㎡(60평) 이상~297㎡(90평) 미만이 2가구, 165㎡(50평) 이상~198㎡(60평) 미만 3가구, 132㎡(40평) 이상~165㎡(50평) 미만 11가구, 99㎡(30평) 이상~132㎡ 미만 18가구 등이다.
공공임대주택 입주 기준인 기준소득의 150%를 초과해 자격이 상실된 사람도 서울, 경기에서만 24명이 적발됐다.
용인 신갈 3단지 공공임대에 입주한 20대 여성의 경우 기준 소득보다 월평균 소득이 417만원을 초과했다.
안홍준 의원은 “다주택자나 고소득자들이 공공임대주택에 입주하는 행위가 여전히 개선되지 않고 있다”며 “공공임대주택 입주 대기자가 늘고 있는 상황에서 부적격 입주자가 발생하지 않도록 입주자 관리를 철저히 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