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쉬는 계절이 바뀔 때마다 제동장치를 점검하는 것이 좋다는 전제 하에 브레이크 패드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운전자에 다양한 신호를 전달한다고 전했다.
평소보다 깊이 밟아야 제동이 되거나, 반응이 늦거나, 페달을 밟을 때 끊어지는 느낌이 날 경우 패드의 마모를 의심할 필요가 있다는 설명이다.
또 급정거를 한 것도 아닌데 ‘끼익’ 소리가나 나는 등 비정상으로 긁히는 소리가 날 경우 마모 정도가 심해 즉시 패드를 교체해야 한다. 일부 고급차의 경우 브레이크 패드 교체 시기가 되면 경고등이 점등되기도 한다.
이같이 이상이 느껴진다면 보닛을 열어 브레이크 액의 양을 체크하면 된다. 만일 기준선 밑으로 내려가 있다면 마모 정도가 심할 가능성이 높다.
통상적인 디스크식 패드 교환주기는 디스크식 패드의 경우 3만~4만㎞, 드럼식 라이닝은 6만~7만㎞라고 한다. 다만 일반 고객의 경우 브레이크 방식을 알기가 쉽지 않으므로 매 1만㎞마다 정기 검사를 하는 게 좋다.
한편 브레이크 패드 수명을 늘리기 위해선 브레이크를 나눠 밟는 게 좋다. 급정거는 브레이크 패드 수명을 줄이는 것은 물론 연비를 낮추고 차량ㆍ타이어 수명도 감소시킨다. 평소 정비소를 방문할 때 브레이크 액의 상태를 확인, 교체해 주는 것도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