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 최고위원은 19일 국민참여당 유시민 대표가 진행하는 인터넷 라디오 방송에 출연해 2005년 6자회담에서 9ㆍ19 공동성명이 채택되는 과정의 비화를 소개했다.
이날 대담은 참여정부와 열린우리당 시절 줄곧 불편한 관계를 유지했던 두 사람이 라디오를 매개로 만남을 가진 것이어서 관심을 끌었다.
정 최고위원은 “러시아는 참여정부 때 한반도에 자꾸 영향력이나 역할을 하려 했고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노무현 당시 대통령과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정상회담을 주선하겠다는 얘기도 했다”며 “우리는 남북 어디든 좋지만 한반도를 벗어나면 안된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고 말했다.
그는 2005년 미국을 강타한 허리케인 '카트리나'가 9ㆍ19 성명 도출에 기여했다고 설명했다.
정 최고위원은 “카트리나가 미국을 강타했는데 미국 조지 부시 당시 대통령이 초기 대응을 망설이다 여론의 질타를 받고 허겁지겁 뛰어갔다”며 “그 때 백악관이 비었는데 외교의 힘을 구사하는 국무부가 작동해 9ㆍ19 성명이 나왔다”고 전했다.
그는 “그러나 뒤늦게 강경파인 네오콘이 이를 뒤엎어 합의가 작동하지 않았고, 북한이 핵실험을 했다”며 “결국 부시 행정부도 임기를 얼마 남겨 놓지 않은 2007년 2ㆍ13 합의를 통해 대북 적대시 정책을 포기하고 9ㆍ19로 다시 돌아왔다”고 말했다.
그는 9ㆍ19 공동성명 문안 작성 도중 한반도의 항구적 평화 논의와 관련해 미국이 '평화공존'이라는 단어를 거부해 '공존을 평화적으로 하자'는 취지의 문구로 변경한 일화도 소개했다.
또 개성공단 성사에 필요한 미국의 동의를 받기 위해 2005년 미국 도널드 럼즈펠드 당시 국방장관을 만나 한반도 지도를 꺼내든 뒤 “개성공단은 경제사업이 아니라 군사동맹 사업”이라고 설득한 뒷얘기도 털어놨다.
그는 “작년 11월 연평도로 대포를 쏜 곳이 황해남도 강령”이라며 “참여정부 때 합의된 서해평화협력지대가 제대로 됐다면 이곳은 해주공단이 됐을 곳”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