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주사변 80주년 정부주도 사상최대규모 행사, 반일감정 확산

2011-09-19 11:45
  • 글자크기 설정
(베이징=조용성 특파원) 댜오위다오(釣魚島.일본명 센카쿠 열도)를 문제를 두고 일본과 마찰음을 빚고 있는 중국이 사상 최대규모의 만주사변 80주년 기념행사를 개최했다.

지난 18일 중국 전국 각지에서 만주사변 80주년 기념식이 대규모로 거행됐으며 이를 CCTV, 인민일보, 신화사 등 중국의 유력매체들이 각각 비중있게 다뤘다.

만주사변은 일본군이 1931년 9월 18일 선양(瀋陽) 류타오거우(柳條溝)의 남만주 철도를 폭파하고 이를 중국 군벌 장쉐량(張學良) 군대의 소행이라고 규정, 만주 일대에 대한 본격적인 침략에 나선 사건을 말한다.

과거 만주사변기념행사는 선양시 주관으로 열렸지만 올해는 랴오닝(遙寧), 지린(吉林), 헤이룽장(黑龍江)성 등 동북3성이 공동으로 주최했다. 또한 중국 공산당 중앙선전부와, 인민해방군 총정치부, 선양군구도 행사를 공동으로 주관했다. 이날 선양에서 열린 기념식에는 28명의 차관급 이상 관료, 소장 이상 장군들이 참석했다. CCTV는 3량의 전용취재버스를 동원해 행사를 취재한 후 이를 상세히 보도했다.

이와는 별도로 각지에서 만주사변 기념식이 거행됐다. 지린성 창춘(長春)에서는 위황궁박물관에서 기념식이 열고 ‘일제침략문물전’이 개최됐다. 랴오닝성 선양에서는 이날 ‘동북의용군기념광장’이 공식 개장됐다. 광장에는 11명의 의용군 주요인사의 흉상과 200개가 넘는 비석이 조성됐다. 산둥(山東)성 칭다오(靑島)에서는 ‘일제침략민간소장물전시회’가 지난 15일 개최됐다. 베이징(北京)에서는 ‘펑중윈(馮仲云)기념전’이 열렸다. 펑중윈은 항일연합군 제3로군 총정위를 역임했었으며 종전이후 많은 관련 저작을 남겼었다.

이 밖에도 당시 참전했던 일본군, 교수, 학생들로 이뤄진 일본의 방문단은 지난 15일 창춘 위황궁박물관에서 토론회를 개최했다. 일본군으로서 중국침략에 참전했던다는 야마시타마사오(山下正男)는 “중국침략 당시 나는 많은 죄를 저질렀다”라며 “내 나이 85세고 살날이 얼마 남지 않았지만 난 반드시 침략전쟁의 진상을 알리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공산당 산하 인민일보는 사설을 통해 “낙후되 있으면 침략당한다”는 “제대로 싸우지도 못하고 퇴각했던 당시의 아픔을 잊지 말자”고 강조했다. 이어 “그날의 굴욕과 치욕은 잊어서는 안 된다”며 “각 민족과 인민들이 일치단결해 중화민족의 위대한 부흥을 이뤄나가자”고 주장했다.

이와 함께 민간차원에서의 일본에 대한 손해배상 청구소송도 빈번해지면서 반일감정이 확산되고 있다. 이날 73세의 랴오스화(廖世華)는 10여명의 ‘청두(成都)공습’ 생존자들과 변호사 자원봉사자와 함께 일본으로 향했다. 그는 21일 도쿄지방법원에 청두대공습 손해배상소송에 원고로 참석할 예정이다.

1941년 3세였던 랴오스화는 가족들과 점심을 먹다가 공습을 받았다. 공습으로 인해 언니는 오른쪽 팔을 잃었고 오빠는 사망했다. 그동안 청두대공습과 관련한 자료를 수집해온 랴오스화는 “작전에 108대의 전투기가 440발 이상의 폭탄을 쏟아부었으며 1600명의 민간인이 사망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