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건설은 최근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분당동 35번지에 위치한 샛별마을 동성아파트 (1993년 3월 완공) 9개 동 78.22㎡~ 156.43㎡ 582가구에 대한 리모델링 CM 사업 약정서를 체결했다고 19일 밝혔다.
![]() |
성남시 분당구 동성아파트 전경 |
동성아파트의 CM 도입이 관심을 끄는 이유는 전문성이 결여된 상태에서 사업을 추진함에 따라 시행착오를 겪어 왔던 기존 방식의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란 기대 때문이다.
그동안 대부분 리모델링 프로젝트는 경험과 기술이 부족한 영세 정비업체 주도로 제반 업무를 진행해 왔다. 실제로 1기 신도시 254개 단지 약 30만 가구 중 완공 사례가 전무할 정도로 경험 부족과 전문적인 지원을 받지 못해 리모델링 사업 추진에 어려움을 겪어 왔다.
약정서에 따르면 쌍용건설은 사업관리자 겸 주관 시공사(지분 60%)로서 종합사업관리를 맡아 △ 리모델링 사업 계획 수립 △ 기본설계 작성 △ 구조안전 계획 수립 △ 시공 기술 계획 수립 △ 입찰관리 지원 (회원 시공사, 지분 40%), 행정업무 지원 및 관리 △ 인허가 △ 주민 홍보 및 동의서 징구 지원 △ 토목, 건축, 전기, 설비, 조경 공사 등을 수행한다.
주민 입장에선 CM사의 전문적 지원을 받아 최적의 설계와 구조 안전을 확보한 뒤 사업을 진행함으로써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됐다.
또 회원 시공사는 경험 부족에 대한 부담을 덜고 시공 참여 기회를 확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소모적인 홍보전에 투입될 비용과 에너지를 가격 및 기술 경쟁에 집중할 수 있다.
동성아파트 리모델링 추진위원장은 "CM은 주민과 건설사가 설계, 법률, 행정까지 함께 사업을 추진해나가는 방식이기 때문에 향후 수직 증축 허용 법안 통과 등 제도 변경에 대한 대응이 가능하다”며 “초기부터 전문적 기술 지원을 받아 안심하고 사업을 추진할 수 있어 이 방식을 선택하게 됐다”고 밝혔다.
김종구 쌍용건설 상무는 "2008년 수원 동신아파트 3870가구, 목동 10단지 2160가구가 쌍용건설과 리모델링 CM 약정을 체결한 바 있다”며 “향후 안전성 향상을 위한 기술 협력 방안도 적극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쌍용건설은 방배동 쌍용 예가 클래식 (옛 궁전아파트), 당산동 쌍용 예가 클래식 (옛 평화아파트), 도곡동 쌍용 예가 (옛 동신아파트) 등 단지 전체 리모델링 1, 2, 3호 프로젝트를 모두 완공했으며 4호 프로젝트인 마포 현석동 호수아파트 리모델링 공사를 수행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