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현기 솔로몬투자증권 연구원은 “유로 재정위기 해결을 위해서 다양한 정책공조가 나타나고 있으며 경기 회복을 위한 방안도 마련되고 있지만 당장 그 효과를 기대하는 것은 무리”라며 “유로 재정위기를 위한 방안은 이행 가능성과 지속 여부를 살펴야 한다”고 말했다.
강현기 연구원은 “현재 브릭스가 유로존의 구원투수로 부각되고 있지만 브릭스 역시 유로 국채 매입을 위한 자금 규모와 배분 조율 단계를 거쳐야 한다”며 “당장 브릭스 개입이란 정책공조 확대 정도로 만족해야 할 것”이라고 전했다.
강 연구원은 “FOMC 회의에선 통화정책면에서 경기부양을 위한 방안이 나올 것으로 전망되지만 그 보폭은 크지 못할 것”이라며 “Fed가 보유채권을 장기물로 바꾸는 이른바 오퍼레이션 트위스트 정도의 조치에 그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일부에선 미국 경기선행지수 증가율 상승을 근거로 일정한 기대감을 표출하고 있지만 확대된 유동성이 경기를 견인하기 위해선 기업 투자나 개인 소비가 증가해야 한다”며 “하지만 경기 매력이 현격하게 저하된 상황에서 이를 기대하기는 무리”라고 전했다.
이어 그는 “심리지표 하락 이후 실물지표가 둔화되는 현상도 고려해야 한다”며 “심리지표 급락 이후 미국 내 소매판매 감소, 기업 고용 둔화, 신규주문 감소 등 향후 생산 둔화도 이어질 수 있다고 판단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