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경부는 이날 국회 지식경제위원회 소속 한나라당 이종혁 의원에게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에서 “이 사업은 초기단계 논의상태로 구체적 계약조건에 대해 논의된 바 없다”며 이같이 밝혔다.
북한의 가스관 차단 가능성에 대한 일각의 우려 등 리스크 대응 문제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가스공급계약에 있어 가스공급 이행책임은 기본적으로 수출국(러시아)에 있다”고 답변했다.
지경부는 “한국가스공사와 러시아 가즈프롬 간 사업추진방식 등에 대해 실무협의 중인 단계”라고 거듭 강조하고는 앞서 프로젝트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가스공사와 가즈프롬은 도입방식별 기술·경제적 주요사안에 대해 공동연구한 바 있다고 소개했다.
그 결과 북한 경유 PNG 방식의 수송과 관련해서는 약 34억 달러의 투자비가 소요될 것으로 예상됐다.
하지만 향후 북한통과 노선 및 통과비용 산정, 러시아와의 협상결과 등에 따라 투자비는 변동될 수 있다고 지경부는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