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행정안전위 유정복(한나라당) 의원은 18일 교육감선거에 정당공천제를 도입하자는 견해에 찬성하는 유권자는 22.9%, 반대 64.1%, 잘 모름 13.0%, 후보자의 경우 찬성 36.1%, 반대 62.1%, 잘 모름 1.8%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이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지난해 10월7일∼22일 전국 16개 광역시도에 거주하는 만19세 이상 성인남녀 1500명을 상대로 실시한 `선거제도 개선을 위한 유권자 및 후보자 의견조사‘ 결과다.
또 정당의 기호에 따라 교육감 후보자를 찍는 `줄투표’ 현상이 심각한 만큼 교육감선거와 지방선거를 분리하자는 견해가 다수였다.
유권자의 경우 분리 58.1%, 동시 34.5%, 잘 모름 7.5%였고, 후보자는 분리 69.7%, 동시 27.5%, 잘 모름 2.8%로 조사됐다.
교육감 선출 방식의 경우 유권자의 42.6%가 시ㆍ도지사와 러닝메이트로 출마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학교 운영위원 등을 통한 간접선거로 돌아가야 한다 39.3%, 시ㆍ도지사 임명 14.1% 등의 순이었다.
후보자 역시 시ㆍ도지사와 러닝메이트로 출마해야 한다는 견해가 48.2%로 가장 많았고, 간접선거 재도입과 시ㆍ도지사 임명이 각각 23.1%를 차지했다.
또 지난해 6ㆍ2 지방선거 후보자 가운데 53.8%가 공천이 투명하고 공정했다고 답했다. 공천제도 개선방안은 상향식 공천제도 41.6%, 공천기한 법제화 25.7%, 정당으로부터 독립된 공천심사기구 구성 19.3% 등의 순으로 답했다.
그러나 지난 지방선거에서 정당이 공천헌금을 수수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답한 후보자가 55.3%로 집계돼 공천과정에 대한 신뢰는 떨어지는 것으로 조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