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우자 주택지분 있어도 동거주택상속세 안낸다”

2011-09-08 10:59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차현정 기자) 아내가 친정아버지로부터 상속받은 주택 지분을 보유했더라도 무주택자인 아들이 아버지와 10년 이상 동거(同居)해온 주택을 상속받은 경우 동거주택 상속공제를 적용받을 수 있게 됐다.
 
 국무총리 산하 조세심판원은 최근 조세심판관 합동회의를 개최, 이 같은 내용을 심리, 결정했다고 7일 밝혔다.
 
 무주택자인 아들(청구인)이 아버지와 10년 이 상 동거해온 주택을 상속받았다면 아들의 처가 친정아버지로부터 주택의 소수지분을 상속받아 소유하고 있는 경우에도 상속개시일 현재 1세대 1주택으로 상속받은 주택가액의 40%에 해당하는 금액(5억원 한도)을 상속세과세가액에서 공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간 과세관청은 청구인의 배우자가 친정아버지로부터 주택 소수지분을 상속받아 보유하고 있다는 이유로 청구인을 동거주택 상속공제 대상에서 제외해왔다.
 
 조세심판원 관계자는 “동거주택 상속공제의 취지를 감안해 관련 세법규정상 그 범위가 불명확한 요건인 1세대1주택의 의미를 적극 해석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