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신종 '보이스 피싱'으로 피해자가 속출하고 있어 세심한 주의가 요구 되고 있다.
신종 '보이스 피싱'은 가족 명의의 전화 번호로 전화를 걸어 피해자를 속이는 방법이다.
경찰은 "지난달 29일 대구에 사는 김모씨가 딸을 납치하고 있으니 불러주는 계좌로 3천만원을 보내라'는 협박전화를 받았고 집으로 걸려온 전화번호는 김씨의 딸의 휴대번호 였다"고 밝혔다.
경찰은 신고 접수를 받고 조사한 결과 김씨의 딸은 납치 당하지 않았고 부모에게 전화 걸어 "나는 납치 당하지 않았다"고 전했다.
경찰은 신종 보이스 피싱으로 특수 단말기를 부착하면 얼마든지 송신번호를 조작할 수 있다고 전했다.
또 신종 보이스 피싱은 가족의 전화번호로 협박전화를 걸고, 딸 등 협박 당사자에 전화를 계속 걸어 가족과의 연락이 닿는 걸 방해했다.
경찰은 그동안 관공서 등을 가장한 보이스 피싱에서, 가족 명의의 전화 번호를 조작해 피해자를 속이는 수법으로 전화 사기가 이뤄졌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이밖에 신종 보이스 피싱으로는 예금통장이 범죄에 연루돼 있다고 속인 후 임의로 만든 홈페이지에 인터넷 뱅킹 아이디와 비밀번호, 신용카드 번호를 입력하라고 요구 하는 방법으로 진화했다.
이러한 정보들로 신종 보이스피싱 사기법들은 예금은 물론 카드론에 대출까지 받고 있어 피해 규모가 예전에 비해 커졌다.
경찰 관계자는 "가족 명의의 휴대 전화번호를 조작해 돈을 요구한 신종 보이스 피싱"이라며"협박전화가 오더라도 조작이 가능한 점을 인지해 즉시 경찰에 신고해 달라"고 당부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