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양식장 주인은 양식장 인근 구제역 매몰지에서 흘러나온 침출수 때문이라고 주장하고 있어 논란이 일고 있다.
7일 포천시에 따르면 지난 2일 관인면 중리 양식장에서 철갑상어 3000여마리가 폐사했다.
시는 경기도 민물고기연구소에 간이검사를 의뢰했고, 그 결과 아질산와 암모니아가 각각 기준치보다 높게 나온 것으로 나타났다.
시 관계자는 “육안검사와 간이검사 결과로는 침출수가 원인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어려워 양식장 물을 채취해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에 질병과 수질검사를 의뢰했다”며 “결과는 추석 이후에 나올 전망”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양식장 주인은 집단 폐사의 주된 원인으로 구제역 매몰지에서 유출된 침출수를 지목하고 있다.
피해액은 15억원에 달한다고 양식장 주인은 밝혔다.
이 양식장 인근 하천 하류 20m 지점에는 지난 1월 구제역으로 설처분된 돼지 4000여마리가 매몰돼 있다.
하지만 환경부와 경기도, 포천시가 지난 6월 포천지역 구제역 매몰지 침출수 유출은 없다고 밝힌 지 3개월여만에 또 다시 침출수 논란에 휩싸여 논란은 더욱 가중될 것으로 보인다.
당시 3개 기관은 포천지역 구제역 매몰지에는 문제가 없다고 반박문을 발표하는 등 여론몰이로 맞선던 터라 이번 집단 폐사의 원인이 구제역 침출수에 의한 것이라고 밝혀질 경우 비난의 화살을 피하기 어렵게 됐다.
특히 이번 검사결과에 따라 정부가 사상 최악의 피해규모와 미숙한 방역, 역학조사 등 논란의 중심에 놓였던 구제역 매몰지 관리를 어떤 방향으로 해석하고 풀어나갈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