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만 두 대학이 각각 이달 27일, 다음달 1일로 정해진 기한 내에 이를 이행하기 어려운 점을 감안하면 사실상 폐쇄 절차를 밟을 것으로 보인다.
전남 순천의 명신대는 대학 설립인가와 관련, 수익용기본재산 확보 기록을 허위 제출하고 교비 12억원을 횡령했다. 또 수업일수 3/4 미달 학생 2만2794명에게 출석을 인정하고 성적을 부여했으며 입학정원보다 116명을 더 뽑아 다른 과로 옮겨줬다.
설립자가 사적 용도로 쓴 교비 13억8000만원은 회수되지 않았으며 교직원이 퇴직할 때 신원보증금 5억3000만원을 교비에서 지급하고 등록금 6억여원도 불법 사용했다.
전남 강진의 성화대는 2006년과 지난해 감사에서 지적된 사항을 미이행했다. 2006년 미활용 교육용재산 취득과 교직원 인사, 입시·학사관리에 관해 ‘부적정’ 지적을 받았지만 작년에 다시 지적받았다.
또 설립자 이모씨가 2005년부터 교비 약 52억원을 빼돌리는 등 총 65억원을 횡령했으며 수업일수 미달 학생 2만3848명에게 출석 인정·학점 부여, 전임교원과 사무직원 채용 부적정 등의 비리도 지적됐다.
두 대학이 감사 이후 제출한 이의신청은 모두 기각됐다.
교과부의 시정 요구사항을 명신대는 이달 27일까지, 성화대학은 다음달 1일까지 각각 이행해야 한다. 이행하지 않을 경우 교과부는 학교 폐쇄, 임원취임 승인취소 등의 절차를 밟을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