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당국은 지난 달 말 일부 저축은행에 대해 이달 13일까지 경영개선계획 제출하라고 요구하는 등 사전통보 작업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당국은 국제결제은행(BIS) 자기자본비율이 5% 미만인 저축은행에 대해선 일정 기간 경영정상화 기간을 준 뒤 퇴출이나 영업정지 등 강경조치를 취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BIS비율이 5% 미만인 곳은 물론, 5% 선을 넘긴 저축은행들도 BIS비율을 10%선까지 높여야 안심할 수 있다는 판단에 따라 앞다퉈 자구계획안을 마련하고 있다.
서울 강남에 본점을 둔 A저축은행의 경우 모기업의 기업재무구조 개선작업(워크아웃)에도 불구하고 외부 투자 유치작업에 모든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소공동에 위치한 B저축은행은 최근 운영자금 마련을 위해 신주발행 형식으로 1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결정했다. 수도권에 본사를 둔 C저축은행은 계열저축은행 매각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저축은행들이 당국이 제시한 BIS비율 10%대를 만들기 위해 대주주 유상증자 및 계열사 매각 작업 등 고군분투하는 모습이다.
그러나 일각에선 당국의 경영진단 기준 자체에 문제가 있다며 강력하게 반발하고 있다. 당국에서 종전과 달리 지나치게 까다로운 잣대를 적용한 결과 BIS 비율이 떨어졌다고 보고 적극 방어에 나선 것이다.
D저축은행 관계자는 "(당국이) 부동산 담보물건에 대한 평가나 대손충당금 적립 기준에서 융통성을 전혀 발휘하지 않고 있다"며 "예년과 다르게 갑자기 원칙만을 고수한 결과 BIS비율이 크게 하락했지만 특별한 자구책 마련도 힘들어 생존 자체가 위태롭다"고 지적했다.
E저축은행 관계자 역시 "이대로 당국의 경영진단 결과에 확인 서명을 하기에는 억울한 측면이 있다"며 "업계와 이견을 보이는 부분에 대해 당국이 조율하기보다는 무조건 증자를 해야 한다는 식으로 몰아붙여 답답하기만 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