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취안바오(證卷報)는 4일 재정부 경제건설사 샹디하이 처장이 현재의 신에너지자동차 보조 정책이 10월 1일부터 새로운 정책으로 바뀐다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어떤식으로 바뀌는 지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하지만 블룸버그통신은 정부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에너지 절감형 차량에 지급하는 보조금 규제를 강화한다고 같은날 보도했다. 통신에 따르면 앞으로는 연비가 100km 당 6.3ℓ 이하의 차량에 대해서만 보조금이 적용된다. 현재는 100km 당 6.9ℓ다. 중국 정부는 변경된 보조금 규제를 조만간 공식 발표할 예정이며 차량 보조금 3000위안은 변동이 없다고 전했다.
앞서 3일 자동차관련 포럼에서 중국 공업신식화부 쑤보(蘇波) 부부장도 “에너지절감형 자동차에 대한 보조정책을 계속 시행하지만 기준을 높이는데 관련 부처가 뜻을 모았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에너지 절감과 신에너지 자동차의 출시를 계획성있게 조절해 자동차 분야의 에너지 절감과 오염 감소를 촉진하겠다고 그는 말했다.
자동차산업은 지난해 중국 세수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13%, GDP에서 6.13%를 차지하는 핵심 지주산업이 됐다. 일자리 창출과 내수 진작에서도 갈수록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지난해 중국의 자동차 생산과 판매는 모두 각각 1800만대를 넘어섰으며 개인 자동차 보유량은 8000만대를 넘어섰다. 그러나 이같은 자동차 급증세는 에너지, 환경, 교통 등에 상당한 미치는 마이너스 영향이 상당하다.
자동차용 기름 소비는 전체 기름 소비의 65%를 차지하고, 새로 증가한 석유 소비 분량의 70%는 자동차가 차지하고 있다. 자동차 증가에 따른 환경오염과 교통체증도 날로 심각해지고 있다. 중국 정부는 자동차 소비를 제한하고 보조금 혜택도 줄이고 있어 자동차 업계의 타격이 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