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지수는 전일 대비 143.95포인트(1.29%) 상승한 1만1320.71로 마감했다. 나스닥지수는 21.63포인트(0.88%) 오른 2467.69를 기록했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1177.60으로 15.25포인트(1.31%) 뛰었다.
이날 증시는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Fed)의 26일 연례 컨퍼런스를 앞두고 관망세가 강한 가운데 개장전부터 경제지표가 좋은 모습을 보이며 상승세를 이끌었다.
이날 발표된 미국 경제지표는 엇갈린 모습을 보였다.
7월 내구재 주문은 전월 대비 4.0% 증가해 시장 전망치인 2.0% 증가를 크게 웃돌았다.
연방주택금융공사(FHFA)가 집계한 미국의 6월 주택가격은 전월 대비 0.9% 올랐으나 전년 동기에 비해서는 4.3% 떨어졌다.
지난주 모기지 신청 건수는 전주 대비 2.4% 감소하며 15년 만에 최저치를 나타내 아직 주택시장이 침체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시사했다.
무디스가 이날 일본의 국가 신용등급을 종전 'Aa2'에서 'Aa3'로 강등하면서 글로벌 경제에 대한 투자자들의 불안을 키웠다.
그러나 연일 상승세를 보였던 금 값이 이날 급락하면서 위험자산 선호심리가 커진 게 증시에 호재로 작용했다.
이날 금융주가 강세를 보였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A)가 최근 낙폭이 과대했다는 인식에 이날 11% 폭등했다.
JP모건체이스와 씨티그룹은 3%, 4.1% 각각 올랐다.
유럽 주요증시는 상승했다.
미국 연준이 추가 경기부양책을 내놓을 수 있다는 기대가 커진 가운데 미국 제조업 지표가 개선된 것이 증시에 호재로 작용했다.
범유럽지수인 스톡스유럽600 지수는 전일 대비 1.39% 상승한 229.79로 거래를 마쳤다.
영국FTSE100지수는 76.43포인트(1.49%) 오른 5205.85로, 독일DAX30지수는 148.70포인트(2.69%) 상승한 5681.08로, 프랑스CAC40지수는 55.18포인트(1.79%) 뛴 3139.55로 마감했다.
국제유가는 원유재고 감소에도 금값이 3년래 최대 낙폭을 기록하며 동반 하락했다.
이날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거래된 10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날보다 28센트(0.33%) 내린 배럴당 85.16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뉴욕상품거래소(COMEX)에서 12월 인도분 금은 전날보다 104.00달러(5.6%) 떨어진 온스당 1757.30달러에 거래를 마감했다.
이날 오후 5시46분 현재 뉴욕 외환시장에서 유로·달러 환율은 전일대비 0.0094% 내린 1.4413달러를 기록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