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닥 전용펀드로 기관투자 늘려야"

2011-08-22 13:56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이성우 기자) 기관 투자자를 위한 코스닥 전용 펀드를 만들어 투기판으로 전락한 코스닥을 자정시켜야 한다는 지적이다.

정부가 적극적인 세제 지원으로 코스닥 종목만 투자하는 펀드를 만들 만한 뚜렷한 유인을 기관에 줘야 한다는 것이다.

증권가는 코스닥 전용펀드로 기관 참여를 활성화할 경우 외국인이 코스닥을 외면하는 현상도 해소될 것으로 기대했다.

22일 금융투자업계·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닥 일평균 거래량은 2010년 12월 6억3246만주에서 올해 7월 4억6071만주로 27.16% 줄었다.

이달 들어서도 19일까지 5억4444만주로 2010년 12월 평균을 밑돌았다.

증권가는 코스닥 거래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코스닥 전용펀드를 통해 장기투자 성향인 기관 참여를 늘려야 할 것으로 지적했다.

코스닥 전용펀드는 코스닥 기업 또는 상장 이전 유망 회사에 주로 투자하는 간접투자상품이다. 일반 주식형펀드가 유가증권시장 종목 위주로 편입하는 것과 달리 자산 가운데 최대 100%까지 코스닥 기업에 투자할 수 있다.

A증권 스몰캡 담당 연구원은 "코스닥에서 회계부정이나 배임, 횡령, 주가조작 사건이 잇따르면서 기관뿐 아니라 외국인이 시장을 떠났다"며 "단기 수익에만 치중하는 개인만 남게 되면서 건전성이 꾸준히 악화되고 있다"고 말했다.

외국인 투자자를 늘릴 수 있는 관건은 기관 참여를 통한 시장 기반 건전화라는 이야기다.

코스닥 일평균 거래대금은 2010년 1월 3조1630억원에서 7월 2조1050억원으로 1조원 이상 줄었다. 이달 들어 미국·유럽발 폭락으로 2조8000억원 가까이 늘어났으나 여전히 예년 수준을 밑돌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정부 차원에서 나서야 한다"며 "기관이 코스닥 전용펀드를 조성할 수 있도록 제도적인 뒷받침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정부에서 운용사를 선정해 위탁하는 형태로 전용펀드를 만들어 기관을 유치할 수 있을 것"이라며 "유치된 기관자금으로 코스닥에 유동성 불안을 크게 완화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기관 투자자산 가운데 일정 비율을 코스닥 종목으로 채워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이 관계자는 "기관이 전체 자산 15%를 코스닥에 투자할 수 있도록 제도를 보완한다면 시장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이라며 "운용자산이 5조8000억원에 달하는 연기금이 15%를 코스닥 종목에 투자할 경우 9000억원 가까이 유입될 수 있다"고 전했다.

이는 7월 코스닥 전체 거래대금 가운데 41% 이상에 해당된다.

정부가 세제 지원을 늘리거나 불필요한 규제를 없애야 한다는 주문도 있다.

다른 업계 관계자는 "기관이 움직이기 위해서는 세제 혜택이 필수"라며 "금융시장이 지금처럼 불안할수록 한시적인 지원책을 통해서라도 투자심리 불안을 완화시켜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를 통해 기관 자금이 꾸준히 유입된다면 코스닥에서도 기업가치를 추종하는 장기투자 문화가 자리잡을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